2024년 4월 20일(토)

“제약회사, 의료 사각지대 해결 위해 적극 나서야”

제약산업의 사회적 가치 제고 토론회

지난 7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제약 산업의 사회적 가치 제고를 위한 토론회’ 현장. ⓒ 한준호 C영상미디어 기자

“현재 국내 제약회사들의 사회공헌 활동 중 이벤트성 프로그램이 너무 많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사회 취약 계층, 난치성 희귀질환자의 의약품 접근성을 높이는 데 집중해야 할 필요가 있다.”

지난 7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 제6간담회실에서 열린 ‘제약산업의 사회적 가치 제고를 위한 토론회’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국내 제약업계가 더 적극적으로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제약 산업은 의약품 개발과 생산으로 ‘인류의 생명 구조’에 이바지한다는 측면에서 근본적으로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지만,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의료 사각지대 문제 해결을 위해 나서야 한다는 것이다.

자유한국당 홍일표·김명연·김승희 의원이 공동 주최하고 더나은미래가 주관한 이날 토론회에서는 양춘승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 상임이사가 ‘제약산업의 사회적 가치 창출’을 주제로 발표하고, 서동철 중앙대학교 약학대학 교수가 ‘제약기업의 사회공헌 사례’를 소개했다.

양춘승 이사는 “사회적 가치는 기업 활동과 사회 공헌 활동 등으로 사회에 제공한 사회·경제·문화·환경적 순 편익(net-benefit)을 가리킨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제약회사는 새로운 약을 연구하고 개발하는 본연의 업무에 충실함으로써 일차적으로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지만, 그 수익을 빈곤층에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투자하는 등 더 큰 임팩트를 낼 수 있다”고 했다. 그는 또 “인구 노령화 문제, 기후변화 문제 등으로 의료 서비스 수요가 꾸준히 증가해 앞으로 제약회사의 사회적 가치 창출이 더욱 중요해질 것”이라 내다봤다.

서동철 교수도 “국내 제약회사 중에서도 세계무대에서 인정받는 곳이 나오고 있다”면서 “제약기업들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해 더 깊이 고민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그는 제약회사들의 사회공헌 활동 유형으로 ▲의약품 기부 ▲의료 종사자 교육, 의료 인프라 투자 등 지역사회의 보건 시스템 구축 ▲자선 재단 설립 ▲자선·기부 활동 위한 민-관 파트너십 구축 등을 제시했다. 이어 “국내에선 민-관 파트너십 구축 사례는 아직 없는데, 정부도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제약산업을 주목한 만큼 앞으로 제약회사들도 정부와의 협력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발제에 이어 진행된 토론에는 정형선 연세대학교 보건대학 교수(좌장), 박주원 지속가능경영재단 CSR경영센터장, 신현민 한국희귀·난치성질환자연합회장, 곽명섭 보건복지부 보험약제과장이 참여했다. 박주원 센터장은 “여러 주체가 힘을 모아 창출하는 ‘컬렉티브 임팩트’가 주목받고 있는데, 제약 기업들도 힘을 모아 우리 사회의 근본적인 의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또 “현재 지속가능 경영 보고서를 발간하는 국내 제약회사는 한미약품뿐”인 점을 지적하며 “국내 제약업계는 아직 사회책임 경영에 대한 의식이 부족한데, 앞으로는 이를 회사 경영의 기본으로 삼아야 한다”고 했다.

신현민 회장은 “지난 2016년 말 희귀질환관리법이 시행됐고, 이듬해 5월 23일을 ‘희귀질환 극복의 날’로 기념하면서 희귀질환자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전보다 확산했지만, 여전히 갈 길이 멀다”고 아쉬움을 토로했다. 그는 “희귀질환 치료제는 연구개발에 비용이 많이 들어서 단가 자체도 높은데다, 사보험 가입도 안 돼 환자 개인이 져야 하는 부담이 너무 크다”면서 “희귀질환자 전용 보험 신설, 희귀질환자에 대한 비급여 의약품 지원 방안 등 제도적으로 희귀질환자들의 치료 기회가 많아져야 한다”고 했다.

이에 대해 곽명섭 과장은 “희귀질환자가 의약품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는 의견에 공감하지만 제약회사의 의약품 기부 등은 자칫 판촉 활동으로 비쳐 공정거래법에 저촉될 수 있다”면서 “제약회사의 의약품 기부가 환자와 특정 기업 간 부정거래 행위로 변질되지 않도록 사회 공적 프로그램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승희 의원은 “희귀·난치성 질환 치료제 개발은 회사 입장에서 이윤 창출이 어려워 선뜻 나서기 쉽지 않다”면서 “이처럼 시장 논리로 풀기 어려운 점들은 국가도 나서 책임을 져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그는 “질병으로 인한 고통은 개인이 혼자 짊어지는 게 아니라 사회 전체가 함께 풀어가야 하는 것”이라며 “오늘 이 자리에서 오간 이야기들이 국정에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승희 더나은미래 기자 heehan@chosun.com] 

– Copyrights ⓒ 더나은미래 & future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기사

Copyrights ⓒ 더나은미래 & futurechosun.com

전체 댓글

제261호 2024.3.19.

저출생은 '우리 아이가 행복하지 않다'는 마지막 경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