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독자기술로 개발된 한국형발사체 누리호(KSLV-II)가 27일 새벽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성공적으로 발사돼 탑재 위성들을 목표 궤도에 안착시켰다.
배경훈 부총리 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브리핑을 통해 “1시 13분 발사된 누리호 4차 발사가 성공했고 1시 55분 차세대중형위성 3호의 신호 수신을 확인했다”며 “국민 여러분께 이 사실을 전하게 되어 매우 기쁘다”고 밝혔다. 그는 “누리호 4차 발사 성공은 우리나라가 독자적인 우주 수송 능력을 갖췄음을 다시 입증하는 성과이자 정부와 민간, 국가연구소가 하나의 팀으로 수행한 최초의 민관 공동 발사”라고 의미를 강조했다.

이번 발사에는 민간 체계종합기업(한화에어로스페이스)이 발사체의 제작·조립을 총괄하고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 주관의 발사 운용에도 참여해 처음으로 민관이 공동으로 준비했다.
누리호는 지구 오로라 관측을 위해 처음으로 야간에 발사됐다. 발사 직전 엄빌리칼 회수 압력 센서 신호 이상으로 인해 예정 시간보다 18분 지연됐으며 발사 가능 시한 1분을 남긴 상황에서 카운트다운이 재개되는 긴박한 순간도 있었다. 그러나 이륙 이후 비행 과정은 계획된 시퀀스에 따라 순조롭게 진행됐다.
누리호는 이륙 후 122.3초 지점인 고도 약 65.7㎞에서 1단 분리 및 2단 점화를 완료했고, 230.2초 고도 약 211.1㎞에서 페어링을 분리했다. 이어 263.1초 고도 약 263㎞에서 2단 분리 및 3단 점화가 진행됐으며, 741.2초 만에 고도 600.5㎞에 도달했다. 자세 안정화 과정을 거친 후 790.9초 고도 601.3㎞에서 차세대중형위성 3호가 분리됐고 813.6초부터 914.4초까지 12기의 큐브위성이 순차적으로 모두 분리되며 임무가 완수됐다. 항우연은 “1단, 2단, 3단 엔진 모두 설계값보다 높은 성능을 보였고 분리 고도 601.3㎞는 성공 기준인 600㎞±35㎞ 범위를 만족했다”고 설명했다.
차세대중형위성 3호는 1시 55분경 남극 세종기지 지상국과 첫 교신을 통해 태양전지판의 전개 등 위성 상태가 정상임을 확인했다. 부탑재위성 12기는 위성별 교신 수신 일정에 따라 순차적으로 지상국과 교신을 진행하며, 이를 통해 항우연이 위성 상태를 확인할 예정이다.
손재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대표는 “3차 발사 이후 2년 6개월 공백으로 산업 생태계 유지가 쉽지 않았으나 협력업체가 기술 인력 이탈 위기 등을 잘 극복했다”며 “우주는 성장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며 독자 발사체 없이는 산업 발전이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이어 “해외 의존은 불가능하고 상업적 모델을 고민하면서 우주발사 능력을 지속 유지하겠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누리호 발사 성공을 계기로 중장기 우주개발 로드맵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윤영빈 우주항공청장은 “2027년까지 누리호를 2차례 더 발사하고 성능이 향상된 차세대 발사체 개발을 병행하겠다”고 밝혔다. 또 “2028년 7차 발사를 위한 예산을 기획하고 있으며 8차 발사 이후부터는 매년 1회 이상 정례 발사를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우주청은 내년 예산에 누리호 7차 발사를 위한 50억 원 반영을 추진하고 이후에는 민간 발사 수요를 보장하는 방식으로 참여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배 부총리는 “차세대 발사체, 달 탐사, 심우주 탐사 등 대한민국이 세계 5대 우주 강국으로 도약하는 길을 흔들림 없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재명 대통령은 이날 오전 공식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린 글을 통해 “대한민국 우주 개발 역사의 새로운 장을 연 순간이었다”며 “가슴이 벅차오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 과학기술의 자립을 증명한 사례라며 의미를 강조한 이 대통령은 “미래 세대가 더 큰 가능성을 향해 과감히 도전할 수 있는 주춧돌이 되리라 믿는다”며 “정부는 과학기술인들이 자유롭고 당당하게 혁신의 길을 개척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조유현 더나은미래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