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엔솔, ESS용 LFP 생산한다…“2027년 가동”

LG에너지솔루션이 국내에서 에너지저장장치(ESS)용 LFP(리튬인산철) 배터리를 생산한다. 회사는 17일 충북 오창 에너지플랜트에서 충북도와 함께 기념 행사를 열고 국내 생산 계획과 기술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LG엔솔은 올해 말부터 생산라인 구축에 들어가 2027년 본격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다. 초기 생산 규모는 1GWh이며, 시장 수요에 따라 단계적 증설도 검토한다. 배터리 소재·부품·장비 분야에서 국내 협력 강화를 통해 LFP 생태계 조성에도 나설 방침이다.

이복원 충북도 경제부지사는 “ESS용 LFP 배터리가 오창 공장에서 생산되는 것은 국내 ESS 산업을 한 단계 끌어올리는 계기”라며 “충북이 글로벌 이차전지 산업의 중심지로 도약하는 기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형식 LG엔솔 ESS전지사업부장(상무)은 “오창 에너지플랜트는 LG엔솔 제품 개발과 제조의 중심 역할을 해온 ‘마더 팩토리’”라며 “ESS용 LFP 생산은 국내 ESS 산업의 새로운 도약을 의미한다”고 강조했다.

중·미 양산 경험, 오창으로

LG엔솔은 2024년 중국 난징에서 ESS용 LFP 생산을 시작했고, 올해 6월부터 미국 미시간 공장도 가동에 들어갔다. 이를 바탕으로 북미·유럽 대형 프로젝트와 계약을 확대하며, 3분기 말 기준 수주 잔고는 120GWh에 육박한다.

회사 측은 이러한 양산 경험과 품질·운영 노하우를 그대로 오창 공장에 적용해 국내 LFP 생태계를 키운다는 구상이다. 충북도 및 국내 소부장 업체들과 공동 기술 개발·공급망 협력을 추진해 LFP 소재의 해외 의존도도 단계적으로 낮출 계획이다.

◇ 글로벌 ESS 90%가 LFP…안전성·가격 경쟁력이 이유

ESS 시장에서 LFP는 안전성과 가격 경쟁력을 이유로 ‘사실상 표준’으로 자리 잡았다. SNE리서치 등에 따르면 전 세계 ESS의 90% 이상이 LFP 기반으로 구축돼 있으며, 향후 비중은 더 커질 전망이다.

LG엔솔이 북미·유럽에서 수주한 주요 ESS 프로젝트 역시 모두 LFP 기반으로 진행됐다. 회사의 LFP 제품은 UL9540A 기준을 충족하고 대형 화재 모의시험(Large Scale Fire Test)에서도 안전성을 입증했다. NFPC607 시험 결과, 열폭주 상황에서도 화염 없이 연기만 발생했고 인접 모듈로의 전이는 없었다. 유해가스·폭압 위험도 최소 수준으로 평가됐다.

이 같은 성과는 셀 품질뿐 아니라 LG엔솔이 자체 개발한 BMS(배터리관리시스템)와 모듈·팩 설계 기술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는 설명이다.

LG에너지솔루션 관계자는 “안정적인 양산 역량과 ESS 특화 기술을 바탕으로 글로벌 ESS 사업을 전략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조유현 더나은미래 기자

관련 기사

Copyrights ⓒ 더나은미래 & futurechosun.com

전체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