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1월 25일(월)

“장애인 청년도 주체적으로 행복하게 살 수 있는 공동체 꿈꿉니다”…강화도 발달장애인 공동체 ‘큰나무캠프힐’

“20년 넘게 발달장애인을 위한 특수교육센터와 대안학교를 운영했어요. 그런데 아이들이 학교를 졸업해도 사회에 나갈 수가 없는 거예요. 아이들의 자립을 보장하지 못하는 곳이 제대로 된 학교인가 하는 회의감이 들었습니다. 결국 아이들을 졸업시켜 내보내는 게 아니라, 졸업 이후의 삶을 보장해줄 수 있는 공동체를 만들어야겠다고 결론지었어요. 그렇게 ‘큰나무캠프힐’을 만들게 됐습니다.”

지난 6월 25일 강화군 양도면 도장리의 큰나무캠프힐에서 만난 문연상 대표. ⓒ정은진 청년기자

지난 6월 25일 강화군 양도면 도장리에 있는 발달장애인 공동체 큰나무캠프힐에서 만난 문연상 대표는 “장애인공동체의 롤 모델을 찾던 중 독일의 캠프힐을 방문하게 됐다”며 “장애인들도 각자 일을 하면서 주체적으로 자신의 삶을 살아가는 모습에 깊은 감명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캠프힐은 1939년 오스트리아의 소아과 의사 카를 쾨니히의 주도로 영국에 설립된 정신 장애인 공동체로, 학교, 작업장, 주거시설을 갖춰 장애인들의 일상생활 전반을 지원하고 있다. 현재 전 세계 20여 개국에서 100여곳의 캠프힐이 운영되고 있다.

2017년 문을 연 큰나무캠프힐에는 문 대표의 가족과 20·30대 발달장애인 청년 7명, 교사 4명이 살고 있다. 청년들은 큰나무캠프힐 안에 있는 1800평 규모의 농장과 베이커리 카페 ‘큰나무’로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번갈아 출근한다. 농장에서는 각자 장애 정도와 특성에 따라 잡초 뽑기, 흙 나르기, 물 주기 등 다양한 작업을 분담하고 있다. 문 대표는 “농사는 워낙 일이 많고 종류도 다양한데다 매일같이 해야 하는 자잘한 작업들이 많아서 발달장애인 청년들에게 능력에 맞는 일거리를 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곳에서 수확한 10여 가지 농작물은 캠프힐 식구들끼리 나눠 먹거나 지역 주민들에게 판매하기도 한다.

큰나무캠프힐에서 운영하는 베이커리 카페 ‘큰나무’에서 발달장애인 청년이 교사와 함께 빵을 포장하고 있다. ⓒ정은진 청년기자

베이커리 카페에서 청년들의 역할 중 하나는 ‘손님 접대’다. 문 대표는 “청년들에게 카페는 직장인 동시에 다양한 사람들을 만날 수 있는 교류의 공간”이라며 “영화 모임, 책 모임, 음악 모임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더 많은 손님이 찾아올 수 있도록 하고 있다”고 했다. 문 대표는 커피와 빵의 맛과 품질에 특히 신경을 쓰고 있다. 발달장애인이 일하는 곳에서 만든 ‘착한’ 제품이라는 이미지에 갇히고 싶지 않아서다. 문 대표는 “사람들이 저희 카페를 ‘숲속에 있어서 경치가 좋고, 빵과 커피가 맛있는 카페’로 인식했으면 좋겠다”면서 “설탕과 버터를 일절 넣지 않고 천연발효종으로 건강하게 만든 빵의 ‘퀄리티’를 우리 카페의 경쟁력으로 내세우고 있다”고 했다. 이날 카페 큰나무를 찾아 천연발효종 빵을 구매한 20대 여성 A씨는 “빵을 사기 위해 일부러 차를 타고 20분을 달려왔다”면서 “딱히 장애인이 일하는 카페라서 특별하다고 생각한 적은 없고 그저 빵이 맛있어서 자주 온다”고 했다.

큰나무캠프힐의 농장에서발달장애인 청년들과 교사가 작물에 물을 주고 있다. ⓒ정은진 청년기자

큰나무캠프힐이 문을 연 것은 2년 전이지만, 연고도 없는 강화도에 정신장애인 공동체를 세우기 위해 문 대표는 훨씬 전부터 공을 들였다. 지역 주민들의 반발에 대비하기 위해서다. 5년 전부터 이곳에 와서 밭을 일구며 주민들과 친분을 쌓았고, 찬찬히 큰나무캠프힐 설립 계획을 주민들에게 설명해나갔다. 건물 외관에도 특별히 공을 들였다. 문 대표는 “장애인이 사는 곳은 누추해야 후원이 잘 들어온다고 얘기하는 사람도 있는데, 누구든지 예쁜 집에 살고 싶은 것처럼 장애인도 예쁘고 좋은 집에서 살고 싶은게 당연한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최근 들어 장애인이 지역 사회 안에서 구성원들과 함께 어울려 살아갈 수 있도록 하는 돌봄 시스템인 ‘커뮤니티 케어’가 주목받으면서, 견학차 큰나무캠프힐을 찾아오는 사람들도 늘고 있다. 문 대표는 “그동안 정부의 장애인지원 정책이 복지시설 같은 기관 중심으로 추진됐다면 점차 정책 당사자인 장애인 중심으로 가고 있다고 본다”면서 “장애인이 주체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 방식으로, 장애인 당사자와 그 가족들이 필요로 하는 것을 충족시키는 방식으로 정책이 변화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큰나무캠프힐 같은 공동체 모델도 정답이라기보다 장애인들이 선택할 수 있는 하나의 옵션이라는 게 문 대표의 생각이다. 그는 “거창한 목표는 없고, 여기서 장애인 청년들과 다 같이 행복하게 잘 살아가는 것이 꿈”이라고 말했다.

[정은진 청년기자(청세담 10기)]

– Copyrights ⓒ 더나은미래 & futurechosun.com,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관련 기사

Copyrights ⓒ 더나은미래 & futurechosun.com

전체 댓글

제262호 창간 14주년 특집

지속가능한 공익 생태계와 함께 걸어온 14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