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의 사회공헌은 전통적으로 사회복지나 교육·장학 사업과 같은 지원 사업이 주를 이뤘다. 하지만 최근에는 문화 예술 영역으로도 그 저변이 확대되고있는추세다. 이번 여론조사에서 드러난 일반인들의 인식에서도 문화 예술에 대한 사회공헌 요구가 높았다.
문화 예술 사회공헌의 필요성에 대해 ‘반드시 필요하다(40.4%)’와 ‘필요하다(51.7%)’는 응답이 90%를 넘었다. 반면 ‘현재의 문화 예술 사회공헌에 대한 평가’를 묻는 질문에는 ‘못한다(42.6%)’나 ‘아주 못한다(10.8%)’는 부정적인 답변(53.4%)이 긍정적인 답변(29.8%)을 압도했다. 플랜엠의 김기룡 대표는 “학력과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문화 예술 사회공헌의 현 수준에 대한 부정적 응답이 많았기 때문에, 향후 사회가 발전해가면서 문화 예술 사회공헌에 대한 욕구가 동시에 늘 것으로 전망할 수 있다”고 말했다.
지금까지 문화 예술 사회공헌 활동은 대부분 공연 지원이나 현물 기부와 같은 마케팅성 협찬 활동이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이번 조사에서는 문화 예술 사회공헌의 향후 지원 분야가 소외 계층의 문화 예술 교육 지원(38.2%)이나 소외 계층의 문화 예술 관람 및 향유 지원(10.7%), 또 지역사회 예술 단체나 예술 공연 지원(16.3%) 등으로 ‘문화 복지’에 대한 욕구가 매우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기존의 메세나 형태로 이뤄져 온 고객이나 일반인 문화생활 지원(14.6%)이나 신진 예술가 발굴 및 지원(9%), 예술가의 창작 활동 지원(7.7%)은 상대적으로 응답자가 적었다. 문화예술사회공헌네트워크 김민지 사무국장은 “문화 예술 사회공헌에 대한 욕구는 매우 큰 데 반해, 기업의 사회공헌 프로그램은 아직 미약한 수준”이라며 “앞으로 현장의 욕구를 반영한 정교한 프로그램이 다양하게 필요하다”고 말했다.
문화 예술 사회공헌은 기업 이미지 제고에 도움이 될까. 이 질문에 국민 80% 이상이 ‘매우 큰 도움이 된다(32.9%)’나 ‘어느 정도 도움이 된다(49.5%)’고 답했다. 문화 예술 사회공헌의 필요성에 대해 대부분 공감하고있는 셈이다.
하지만 문화 예술 사회공헌의 확산을 위해서 해결해야 할 문제점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 예술 사회공헌에 대해 부정적인 응답자(전체 응답자 중 8%)를 조사한 결과, ‘기부금이나 지원의 투명한 사용을 확인하기 어려워서(31.3%)’라는 응답이 가장 높아 기부금 사용의 투명성 확보가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드러났다. 이와 함께 ‘지원이 시급한 분야가 있으므로(27.4%)’ 또는 ‘기업이 문화 예술 분야를 지원할 필요가 없어서(13.5%)’ ‘기업 입장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작아서(12.7%)’ 등의 응답도 많아 문화 예술 사회공헌의 효과성도 해결 과제로 제시됐다.
문화체육관광부 김영산 예술정책관은 “나눔 문화가 더욱 확산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부처를 발굴하고 투명하게 기부금을 집행하며, 사회 변화를 촉진할 수 있도록 정부 차원에서도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