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트임팩트-유엔여성기구 손잡고 ‘성평등 위한 돌봄 문화’ 조성한다

남성 돌봄 참여 확대·포용 조직문화 확산 위해 공동 프로젝트 본격 추진

루트임팩트가 유엔여성기구(UN Women)와 성평등 실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3일 전했다.

루트임팩트는 지난해부터 유엔여성기구 서울 지식·파트너십 센터와 경력보유여성 지원, 돌봄 의제 등 성평등 관련 협력을 이어왔다. 이번 협약은 그 경험을 바탕으로 체계적이고 지속가능한 파트너십을 구축하기 위해 마련됐다.

루트임팩트가 유엔여성기구와 성평등 실현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3일 전했다. /루트임팩트

핵심 의제는 ‘돌봄’이다. 양육자 대상 돌봄 역량 강화 프로그램부터, 돌봄 친화적 조직문화 확산을 위한 실험 프로젝트까지 폭넓게 협력한다. 아시아·태평양 국가들과 유망 사례를 공유하고, 정책 개선을 위한 공동 연구도 추진한다.

이번 협약의 배경에는 ‘돌봄 노동의 불균형’이 있다. 국제 비영리기구 ‘에퀴문도(Equimundo)’가 발간한 ‘2023 세계 아버지의 현황(SOWF 2023)’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무급 돌봄 노동의 가치는 연간 11조 달러(한화 약 1경 4920조원)에 달하며, 여성이 남성보다 3~7배 많은 돌봄 노동을 담당하고 있다.

남성들도 변화를 원하고 있다. 미국·캐나다·중국 등 17개국 조사에서 상당수 남성들이 돌봄 참여 의향을 밝혔다. 하지만 임금 격차와 육아휴직 제도의 한계 등 구조적 장벽이 가로막고 있다.

한국 역시 마찬가지다. 지난 2월 대한민국 고용노동부 발표에 따르면 남성 육아휴직자 수는 4만 명을 돌파했으나 이는 전체 육아휴직자의 30%로, 여전히 여성 육아휴직자 수(9만 706명)의 절반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따라 양측은 이달부터 ‘돌보는 아빠, 돌보는 조직’ 프로젝트를 본격 가동한다. 남성 양육자를 위한 전문가 워크숍을 열고, 돌봄 문화 확산을 위한 조직 실험도 시작한다.

허재형 루트임팩트 대표는 “이번 협약을 통해 국내 사회혁신 생태계와 유엔여성기구의 글로벌 성평등 의제가 만나 새로운 변화의 동력을 창출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특히 돌봄 책임의 성별 불균형 해소와 포용적 조직 문화 확산이라는 구체적 목표를 설정해 실질적 변화를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

마리아 홀츠버그(Maria Holtsberg) 유엔여성기구 아시아·태평양 지역사무소 부소장은 “루트임팩트와의 협약을 통해 아버지들의 양육 역량을 강화하고, 돌봄 친화적인 조직 구축을 위해 효과적 정책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며 “나아가 이번 협약이 한국 사회를 넘어 아시아·태평양 지역 전체에 지속 가능한 돌봄 사회 구축을 위한 촉매제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김규리 더나은미래 기자

관련 기사

Copyrights ⓒ 더나은미래 & futurechosun.com

전체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