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발적 탄소시장 진출… “고객과 함께 온실가스 감축”
SK일렉링크가 전기차 충전 인프라를 기반으로 글로벌 자발적 탄소시장(VCS)에 진출한다. SK일렉링크(대표 조형기)는 3일 “보유한 전기차 충전 네트워크를 활용해 자발적 탄소배출권을 발행받고, 이를 통해 새로운 ESG 기반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자발적 탄소시장은 정부 규제와 무관하게 기업이 자발적으로 탄소 감축 활동을 하고, 이에 상응하는 탄소배출권을 거래하는 시장이다. 최근 글로벌 대기업과 투자자들이 주목하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SK일렉링크는 글로벌 인증기관을 통해 배출권을 발행받을 예정이다. 전기차 충전 인프라를 구축하고 운영함으로써 내연기관차량의 운행을 대체하고, 이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 효과를 인정받겠다는 구상이다.
박원재 SK일렉링크 기획운영실장은 “당사의 본업을 통해 탄소중립에 기여하고, ESG 가치 실현과 경쟁력 제고를 동시에 추구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회사 측은 자발적 탄소배출권 사업에서 발생한 수익을 충전 인프라 확충과 서비스 품질 개선에 재투자할 방침이다. “환경 보호에 동참해온 고객들에게 직접적인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하겠다”는 입장이다.
SK일렉링크는 전국에 약 4800기의 급속충전기를 운영 중이며, 2023년부터 수집된 충전량 데이터를 기반으로 오는 2033년까지 총 320만톤 규모의 자발적 탄소배출권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다.
회사 관계자는 “고객과 함께 온실가스 감축 활동에 참여한다는 점에서 상징성이 크다”며 “ESG 가치를 높이는 동시에 고객 중심의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강화해 전기차 충전 시장을 선도하겠다”고 밝혔다.
조유현 더나은미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