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템 변화 기반 조성을 위한 세 가지 핵심 요소 [SOCAP 2024 인사이트]

올해 10월, 필자가 참석한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2024 SOCAP 글로벌 콘퍼런스에서는 시스템 변화(Systems Change)가 주요 논의 주제로 떠올랐다. 시스템 변화란 단순한 표면적 해결책을 넘어 문제의 근본 원인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속 가능한 변화를 이끄는 접근 방식을 뜻한다. 이번 콘퍼런스에서는 이러한 변화를 촉진하는 세 가지 주요 요인이 강조되었다. 바로 ①시스템적 사고(Systems Thinking) ②DEI(다양성·형평성·포용성) ③참여자 중심의 접근 방식(Participatory Approach)이다. ◇ 시스템 변화는 시스템적 사고에서 시작된다 SOCAP 2024의 개회식은 “우리는 근본적인 문제의 원인을 제대로 분석하고 있는가? 표면적 해결책을 넘어 시스템 변화에 기여하고 있는가?”라는 강렬한 질문으로 시작되었다. 기후 위기, 사회적 불평등 등 전 지구적 문제를 다루는 다양한 접근법이 제시된 가운데, 시스템적 사고(Systems Thinking)를 투자와 기술 관점에서 적용한 사례들이 특히 주목받았다. TransCap Initiative의 Dominic Hofstetter 디렉터는 단일 산업이나 특정 지역에 국한된 투자가 아닌, 시스템 내 공공, 민간, 자선 분야가 협력해 레버리지 포인트(Leverage Points)를 식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보조금(Grants), 촉진 자본(Catalytic Capital), 시장 수익 자본(Market-Rate Investments) 등 다양한 자본을 전략적으로 결합해 통합적인 포트폴리오를 설계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기술 분야에서는 OpenExo의 Salim Ismail이 인공지능과 재생 가능 에너지 등 기술 발전이 비용 감소와 함께 기후 변화, 식량 안보, 의료 접근성 같은 글로벌 문제 해결에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러한 기술 혁신이 분산형(Decentralized)과 오픈소스(Open-Source) 방식으로 구현될 때 시스템 변화에 기여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 시스템 변화를 저해하는

김정태 엠와이소셜컴퍼니 대표
[혁신의 목격자] 당신의 두려움은 무엇입니까?

올해 가을, 나는 새로운 서사를 만났다. 철학자 한병철은 저서 ‘서사의 위기’에서 “문제 풀기에만 몰두하는 사람에게 미래는 없다. 서사만이 비로소 우리로 하여금 희망하게 함으로써 미래를 열어준다”고 말한다. 이야기는 앞으로의 방향을 알려줌과 동시에 이야기에는 새 시작의 힘이 있기에 삶의 여정마다 경험하는 서사는 이전과 이후를 다르게 만드는 독특한 분수령이자 갈림길이 되곤 한다. 이번에 경험한 서사는 지난 9월 싱가포르에서 만난 제러미 린(Jeremy Lin)과의 만남에서 시작됐다. 하버드대학교 졸업 후 최초의 대만계 미국인 NBA 선수로 활동하며 전세계에 ‘Linsanity'(미친 린)라는 돌풍을 일으킨 제러미. 주목받지 못한 벤치 플레이어던 그가 타임지 표지 인물과 ’21세기 최고 농구 이야기 중 하나'(자세한 이야기는 ‘38 앳 더 가든’이라는 다큐멘터리 참고)의 주인공이 되기까지 그가 걸어온 여정은 사실 고난과 인종차별 등으로 가득했다. 임팩트투자를 시작한 그가 초대한 자리에서 린은 자신의 미래 비전이나 현재 영향력이 아닌 과거 자신의 두려움을 먼저 이야기했다. ‘이번 경기에서 별로면 오늘이 NBA에서 마지막 게임이 될 거야.’ 에이전트는 매 게임에 앞서 이렇게 이야기한다. 경기장 건물에 들어설 때 경비원들이 검지 손가락을 흔들며 입장을 막는다. 동양인이 NBA 선수일리가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매번 이러한 ‘경기 전 불안감’(pre game anxiety)에 괴로워하던 그는 두려움을 극복하도록 더 노력하거나 회피하는 방식으로는 해결되지 못함을 깨닫는다. 두려움으로부터 벗어나는 길은 게임이 잘되든 안되든 흔들리지 않고 자신의 정체성에 집중할 때라고 담담히 말했다. 그에게 정체성은 바로 ‘사랑(love)’. 놀랍게도 두려움의 반대말은 ‘두렵지 않은 상태’가 아니라 바로 ‘사랑’이었다.

[사회혁신발언대] SOCAP, 임팩트투자의 담론을 넘어 사례를 논하다

지난 8월 미국 주요 경영자 모임인 비즈니스라운드테이블(BRT)이 내놓은 성명은 세계를 놀라게 하기 충분했다. 아마존, 제네럴모터스(GM) 등 내로라하는 기업의 경영자들이 기업의 존재 이유를 주주의 더 많은 이익 창출이 아닌 윤리적, 사회적 책무로 정의한 것이다. 전통적 주주 자본주의의 요람으로 여겨진 미국에서 말이다. 이러한 분위기를 반영하듯 최근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세계 최대 임팩트투자 컨퍼런스 SOCAP(Social Capital Market)의 열기는 그 어느 해 보다 뜨거웠다. 현지시각으로 지난달 22일부터 25일까지 나흘간 열린 SOCAP은 매년 전 세계 임팩트투자자, 사회적기업·비영리기관 종사자, 정부·학계 관계자, 자선가 등 3000여명이 모이는 행사다. 지난 2008년 시작해 올해로 12회째를 맞았다. 이번 SOCAP에는 전 세계 50여 개국 500명의 연사가 참여했고, 총 150개 세션이 열렸다. 특히 올해는 총 13가지의 주제를 다뤘는데, 대표적인 주제인 ‘임팩트투자(Impact Investing)’ ‘가치(Meaning)’ 외에도 ‘일의 미래(Future of Work)’ ‘임팩트 기술(Impact Tech)’ ‘이야기의 힘(Power of Story)’ 등을 추가해 다양성을 높였다. 이번 SOCAP의 특징은 대세가 된 임팩트투자에 대한 담론을 넘어 구체적 실천 사례들이 논의됐다는 점이다. 신분 증명이 어려운 개발도상국의 사회적 약자 돌봄을 위한 생체인증 기술, 학교와 일터에서 소외된 19~29세 청년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등이 그 예다. 행사 현장에서는 질의응답과 토론도 활발하게 이어졌다. 특히 정부 기관과의 협업, 로컬에서의 상생 방법, 투자 유치를 위한 전략·비법 등이 쏟아졌다. 사회적기업가(social entrepreneur) 또는 투자자로서 사회적 의미(Meaning)와 재무적 성장(Money)을 모두 추구하는 방법에 대한 질문도 매 세션 빠지지 않았다. 특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