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로 평화 정신 심는다…제1회 평창 피스컵 오는 7일 개막

  분쟁 지역의 유소년 축구팀이 참여하는 ‘제1회 평창 피스컵’이 오는 7일부터 9일까지 강원도 평창에서 사흘간 열린다. 올해 첫회를 맞는 이번 평창 피스컵은 ‘스포츠와 평화’를 주제로 강원 지역 유소년 축구팀 3곳과 동티모르, 볼리비아, 케냐 등에서 온 해외팀 3곳 등 총 6팀이 참여한다. 이들은 개막일인 7일 평화 교육 워크숍에 참여한 후 8일부터 토너먼트로 경기를 치르며, 결승전은 오는 10일 오후 3시 40분부터 평창군 진부면 진부면민체육공원 풋살장에서 열린다. 이번 평창 피스컵은 오는 9일부터 11일까지 평창 알펜시아 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2020 평창 평화포럼’의 부대행사로 진행된다. 강원도와 평창군, 한국국제협력단(코이카)이 주최하는 이번 행사는 2018 평창 기념재단과 유엔협회세계연맹(WFUNA)이 주관하고 홍명보 장학재단이 후원한다. 유엔협회세계연맹 측은 “평창 피스컵을 통해 분쟁 지역 청소년과 국내 청소년이 교류하며 평화에 대해 배우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청소년들이 미래 세대 평화를 이끄는 인재로 자라날 수 있도록 피스컵을 통해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평창 피스컵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평창포럼 공식 홈페이지(www.pgpf.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박선하 더나은미래 기자 sona@chosun.com] – Copyrights ⓒ 더나은미래 & futurechosun.com,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위계와 서열, 군사주의에서 자유로울 수는 없을까요?’…피스모모 5주년 국제 컨퍼런스

분단시대, 평화교육을 묻다   “서열과 위계를 탈피한다면, 세상은 어떻게 달라질까요? 가르침이 권력이 되지 않는 배움은 없을까요?” 지난달 28일, 피스모모 창립 5주년 기념 국제 컨퍼런스가 열렸다. 피스모모는 ‘모두가 모두로부터 배운다’는 가치를 중심으로 2012년 설립된 평화교육 단체. 전쟁이나 통일, 안보를 이야기하는 소극적 차원의 ‘평화’를 넘어, 일상 속에 스며든 ‘구조적인 폭력’을 들여다보고, 평화의 관점에서 풀어가는 방식을 교육과 연결해 왔다. 서울시교육청과 공동주최한 이번 컨퍼런스의 제목은 ‘전쟁의 북소리에 춤추지 않는 교육’. 분단 상황에 놓인 한국 사회에서, 교육의 역할과 과제를 모색하기 위한 자리였다.  을지로 페럼타워에서 열린 이날 컨퍼런스에서, 문아영 피스모모 대표는 “세월호를 겪으면서 교육이 아무것도 바꾸지 못하는 게 아닌가 하는 공포에 사로잡히기도 했고, 지난해 광장에서 촛불집회를 하면서 다시 위안을 얻기도 했다”며 “피스모모는 가르침이 권력이 되지 않고, 배우는 사람을 수동적인 위치에 두지 않는 배움이 어떻게 가능할지 고민해왔는데, 서열과 위계를 탈피한다면 세상이 달라질 것이란 믿음을 갖고 있다”고 했다. 이날 행사를 공동주최한 서울시교육청의 조희연 교육감은 “북한의 핵실험, 미국 트럼프의 대북 적대 정책 등으로 한반도 평화에 위기상황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모두가 머리를 맞대고 평화와 교육을 생각해야 하는 시점이라고 생각한다”는 축사와 함께 컨퍼런스를 열었다. 조 교육감은 본인을 포함, 박정희 정권 유신세대 당시 ‘긴급조치 9호’ 피해자 6명이 국가로부터 받을 보상금을 모아 조성한 ‘아시아 민주주의 인권 기금’을 소개하며 “한국의 교육이 협소한 민족주의를 뛰어넘어 아시아의 민주주의와 인권, 평화를 지향하는 방향으로 가도록 시각을 전환하면 좋겠다”고 했다.

‘교육은 어떻게 사회를 바꿀 수 있을까?’ 피스모모, 창립 5주년 국제 컨퍼런스 개최 예정

피스모모, 5주년 국제 컨퍼런스 개최 예정   피스모모는 오는 9월 28일(목) 창립 5주년을 맞아 서울시교육청과 함께 국제 컨퍼런스를 공동주최 한다. ‘전쟁의 북소리에 춤추지 않는 교육’이라는 주제로 열리는 이번 컨퍼런스는, 분단 상황에 놓인 한국 사회에서 교육에 필요한 변화를 묻고, 시민 참여를 확대하기 위한 교육의 역할과 과제를 모색하기 위한 자리다.  이번 컨퍼런스에서는 비판교육학 분야에서 오랜 시간 연구를 해온 마이클 애플 대학 교수가 ‘‘교육은 사회를 어떻게 바꿀 수 있을까?’라는 주제로 기조 연설을 맡았다. 김엘리 한국이주여성인권센터 공동대표와 이대훈 성공회대 평화학 연구교수가 분단과 군사주의를 넘어서는 시민교육과 평화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참가자들과 함께 토론을 이어갈 예정이다.  애초 서울시 청년허브 다목적홀에서 진행예정이었던 컨퍼런스는, 참가신청과 문의가 이어지면서  ‘페럼타워 페럼홀‘로 장소가 변경됐다. 변화된 교육을 통해 사회를 변화시키는데 관심이 있는 이들이라면 누구나 참여 가능하며, 온라인 참가 신청은 9월 26일(화)까지 온라인 링크에서 가능하다. 그 외 문의사항은 피스모모 사무국(peacemomo0904@gmail.com, 02-6351-0904)에 문의 가능하다. 

평화·화해에 대해 토론… ‘대화’로 허문 불신의 벽

케냐 평화 주도한 자반 아푸두 2007년 12월 27일 열린 케냐의 대통령 선거는 온 나라를 유혈사태의 소용돌이로 밀어넣었다. 개표 과정에서 조작이 있었다는 의혹이 일며, 두달에 걸쳐 1500명이 죽고 30만명이 집을 잃었다. 폭력과 증오의 감정은 쉽게 사라지지 않을 듯 보였다. 하지만 피를 흘렸던 도심 한가운데서 평화를 위한 재건의 외침이 울려 퍼지기 시작했다. 자반 아푸두(30)씨가 2009년 주도한 케냐청년평화회의(Kenya Youth Peace Summit)가 48개 부족의 200명과 함께 포럼을 열고 평화와 화해에 대해 토론하며 갈등이 해결되기 시작한 것이다. 세계에서 가장 성공적인 분쟁 해결의 주인공으로 손꼽히는 아푸두씨를 지난 18일 부산 인디고 유스북페어 현장에서 만났다. “이웃이 이웃을 죽이고, 친구가 친구를 죽이는 상황들이 펼쳐졌습니다. 아무도 대화를 하려 하지 않은 채 무엇인가 잘못되었다는 느낌들만이 떠돌고 있었습니다.” 불과 2년 전에 지켜보았던 참상들을 떠올리는 자반씨는 힘든 이야기를 꺼내면서도 좀처럼 침착함을 잃지 않았다. “2007년 12월 30일부터 폭동이 있었습니다. 이 폭동이 격화되던 2008년 초, 주변 친구들과 연속해서 얘기를 나눴습니다. 이야기를 나누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우리가 깨달은 것이 한 가지 있었습니다. 지금 수많은 폭력이 일어나고 있지만, 매우 많은 사람들이 폭력이 멈추기를 바라고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그때부터 자반씨와 친구들은 케냐청년평화회의(Kenya Youth Peace Summit)를 준비하기 시작했다. 폭력사태가 정점에 달했던 2008년 1월과 2월에 케냐의 수도 나이로비에서 평화를 위한 프로젝트가 시작된 것이다. 자반씨와 함께 토론을 하고 이야기를 나누던 청년들이 주축이 된 이 모임은 자반이 활동하고 있던 SOS-Childrens Villages라는 NGO는 물론, SOS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