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유경제 2.0]③ 국내 첫 ‘공유 미용실’ 연 심재현 대표 숙박·운수 업계에서 시작된 공유경제 바람이 미용 업계에도 불고 있다. 저임금·중노동에 시달리던 미용사들은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을 찾고, 손님은 합리적인 가격에 수준 높은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공유 미용실’이 앞다퉈 들어서고 있다. 팔레트에이치, 살롱포레스트, 쉐어스팟 등 지난해부터 생겨나기 시작한 공유 미용실 브랜드만 10여 개다. 공유 미용실 붐을 몰고 온 주인공은 20여 년간 미용사로 일한 심재현(43) 대표다. 지난 2018년 서울 마포구에 국내 최초로 공유 미용실을 열었다. 현재는 서울 강남구와 경기 성남·부천 등까지 합쳐 모두 네 곳의 공유 미용실을 운영한다. 지난 4일 세븐에비뉴 부천점에서 심 대표를 만났다. “세븐에비뉴의 미용사들은 모두 ‘디렉터’로 불립니다. 기초 교육을 수료해 디렉터로 선발되면 약 200만원의 보증금을 내고 미용사들이 각자 경대를 맡아 일을 시작합니다. 근무 일정도 알아서 짜고, 일해서 얻는 수익의 최대 50%를 가져갈 수 있어요. 기존 미용실이나 공유 미용실이나 미용사 신분은 모두 ‘프리랜서’지만, 기존에는 미용사가 일주일에 60시간씩 일하면서도 자신이 올린 수익의 30%도 가져가지 못했습니다. 미용사와 사업주의 갈등이 끊이지 않는 이유죠.” 세븐에비뉴의 미용사는 지휘·감독의 대상이 되는 근로자가 아니라 플랫폼을 사용하고 수수료를 지급하는 ‘파트너’다. 회사는 미용사들에게 ▲홍보·마케팅 ▲브랜딩 ▲미용 기술 개선 ▲노무 관리 등 교육을 제공하고, 개별 미용사가 더 많은 수익을 올리도록 지원한다. 그래야 플랫폼이 가져가는 수익도 커진다. 현재 세븐에비뉴에는 약 30명의 미용사가 참여하고 있는데 평균적으로 일주일에 5일을 일하고, 하루 평균 7시간 근무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