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월 27일 강원 정선군 고한읍에 위치한 구공탄시장. 오전 11시부터 오후 3시까지 연다는 알뜰 시장 현수막이 무색할 정도로 시장 안은 텅 비어있었다. 상인들은 가게 안에서 TV를 보거나 이야기를 나누며 무료함을 달래고 있었다. 고한읍 옆에 있는 사북읍도 사정은 비슷하다. 과일가게 앞에 쌓아놓은 과일은 손님에게 팔려나가는 것보다 진열만 돼 있다가 상해 버리는 게 더 많을 정도다.
고한읍과 사북읍의 재래시장에서 손님이 사라졌다. 이곳에서 돈을 주고 물건을 사는 광경을 만나기란 하늘의 별따기 만큼 어렵다. 시장에서 물건이 사고 팔린다면 십중팔구 강원랜드 하이원 포인트, 일명 ‘콤프’로 거래되는 경우다.
콤프는 카지노에서 고객 유치를 위해 무료로 숙식이나 교통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강원랜드에서는 카지노 고객이 이용 실적에 따라 받아가는 마일리지를 ‘하이원 포인트’라고 부르는데 이를 통칭 콤프라고 부른다. 원래는 하이원 직영 영업장 내에서만 콤프를 사용할 수 있었는데, 2004년 강원랜드가 폐광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정선·삼척·태백·영월 4개 시·군의 가맹점에서 콤프를 화폐처럼 쓸 수 있게 하는 제도를 시행했다.
제도가 시행된지 15년. 콤프는 지역 주민의 삶 속에 깊숙이 파고들었다. 강원랜드와 가까이 있어 카지노 고객의 왕래가 잦은 사북·고한읍의 경우 지역경제가 콤프에 좌우된다고 할 정도로 의존도가 높았다.
“콤프가 마감되면 사람이 안 와요”…중순 넘어가면 발길 뚝
“콤프가 유일한 밥줄이 됐어요. 지역 사람들은 돈이 없어서 물건을 못 사고 카지노 사람들은 콤프로만 물건을 사려고 하니까요. 콤프가 없으면 굶어야 해요.”
사북시장에서 닭집을 운영하는 이모(64) 씨는 “사북의 지역 경제가 침체되는 가운데 상인들이 콤프 하나로 생계를 유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강원랜드는 가맹점별로 사용할 수 있는 콤프 한도를 300만원으로 허용한다. 가맹점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한도는 대개 한달이 되기 전에 모두 소진된다. 한도가 채워지면 가맹점들은 가게 앞에 ‘콤프 마감’이라고 적힌 안내판을 붙인다.
기자가 지역을 방문한 6월 말에도 사북·고한읍의 많은 가게가 이 안내판을 내걸고 있었다. 고한읍의 한 편의점 점주인 김모(68)씨는 “콤프 한도를 채우는 속도가 업종마다 크게 다르다”고 했다. “여기 옆에 있는 큰 마트처럼 사람들이 많이 찾는 곳은 하루도 필요없고 반나절이면 300만원을 금새 채웁니다. 우리 같은 편의점은 10일 이상 걸리죠.”
가게 앞에 콤프가 마감됐다는 안내판이 걸리면 손님 수가 급격히 줄어든다. 손님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카지노 고객들이 콤프를 쓸 수 있는 가게를 찾기 때문이다. 고한읍 돼지국밥 집에서 일하는 정모(42)씨는 “콤프가 마감되면 사람들이 문앞에서 기웃거리다가 그냥 가버린다”고 말했다. 사북시장에서 잡화점을 운영하는 최모(65)씨는 “콤프로 300만 원은 채워지기 때문에 어떻게든 밥벌이는 한다”면서 “사북 지역의 경우 주민 수도 적고 대부분이 저소득 노인층이라 구매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콤프에 의존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지역경제 ‘활성화’ 취지와 달리 ‘현상 유지’에 그쳐
강원랜드가 콤프 한도를 더 늘려줘야 지역 경제가 살아날 수 있다고 주장하는 상인들도 있었다. 구공탄 시장에서 수산물 가게를 하는 유모(61)씨는 “지역 경제가 콤프를 쓰는 카지노 고객에 달려있기 때문에 이들이 콤프를 더 많이 사용할 수 있도록 월 한도를 늘려야 한다“고 말했다. 반면 중심 상권에서 벗어나 있는 가게의 상인들은 의견이 달랐다. 사북읍에서 43년째 장사하는 장모(73)씨는 “중심 상권에 있는 가게에서 콤프가 마감돼야 콤프를 쓰려는 사람들이 변두리의 가게들로 발걸음을 돌린다”면서 “콤프 한도를 늘리면 중심 상권에서만 쓰일 것”이라고 말했다.
기자는 2박 3일간 사북·고한읍을 돌며 콤프 제도에 대한 주민들의 의견을 들었다. 이들에게 콤프는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제도였다. 그러나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애초의 취지와는 다른 방향으로 가고 있었다. 콤프는 지역경제를 ‘유지’하는 역할에 그치고 있었다.
전문가들은 사북·고한읍의 사례처럼 낙후 지역이나 소도시가 대기업에 영향을 받는 경우가 해외에도 많다고 설명했다. 김갑성 연세대학교 도시공학과 교수는 “지역 내 강원랜드의 영향력을 줄이려면 새로운 사업이 있어야 하는데, 사북·고한 지역은 고령화가 심각한 지역이라 자체적으로 사업을 일으킬 동력이 부족하다”면서 “외부에서 젊은층을 끌어들여 지역을 살릴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건희 청년기자(청세담 10기)]
– Copyrights ⓒ 더나은미래 & futurechosun.com,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