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5월 3일(금)

[빌 드레이턴-최진석 교수 특별 대담①] 변화의 시대, 체인지메이커의 시대가 왔다

빌 드레이턴 ‘아쇼카’ 창업자-최진석 ‘건명원’ 초대 원장 대담

 

동서양의 두 구루(guru)가 만났다. 최초로사회적기업가란 개념을 만들고, 전세계 사회적기업가들의 정신적 아버지로 불리우는 글로벌 비영리 조직아쇼카의 창업자 빌 드레이튼(Bill Drayton·74). 그리고 노자 철학 권위자이자, 한국의 인문·과학·예술 혁신학교건명원(建明苑)’의 초대 원장인 최진석(58) 서강대 철학과 교수. 지난 6, 미국 버지니아주 아쇼카 본부에서 만난 두 사람은 언어는 달랐지만 “이제는 변화를 만드는 사람들이 주도하는 시대가 도래했다며 입을 모았다. 빌 드레이튼은 이런 사람들을체인지메이커라고 명명했고, 최진석 교수는 창의(創意) 전사라 불렀다. 파란 눈의 70대 서양인과, 하얀 스포츠머리의 50대 동양인은 다른 길을 걸어온 서로에게 관심을 가지며 2시간 30분 가량 긴 이야기를 이어갔다. 이 시대에체인지메이커인재가 필요한 이유에 대해서 말이다.

◇새 게임엔 새 룰(rule)이 필요하다

빌 드레이튼(이하 빌)=반복의 시대에서 변화의 시대로 바뀌고 있다. 과거에는 규칙을 잘 따르면 좋은 인재가 될 수 있었지만, 변화가 가속화된 지금은 규칙이 점점 소용없다. 규칙에 따라 움직이는 사람은 오히려 다른 사람에게 해를 끼치고, 조직에도 악영향을 미친다. 협업하는 것도 힘들다. 만약 당신이 치과 의사라고 생각해보자. 기술이 발전하고 환자들에게 권력이 이동하는 흐름을 주시해야한다. 변화의 패턴을 보고, 발맞춰 새로운 시도를 해야한다. 모든 사람에게 주어진 시대적 과제다. 문자 그대로 모든 사람이 체인지메이커(Everyone a changemaker)’가 되지 않으면, 이 게임에 참여조차 할 수 없다. 변화에 기여하지 않으면, 즉 체인지메이커가 되지 않으면 살아남기가 힘들다.

최진석(이하 최)=근대까지는 나보다우리가 강조됐다. 개인보다 집단이 더 높은 위치를 점한 것이다. 그런데 이제 게임의 룰이 변했다. 자발성을 가진 개인들의 연합으로 사회가 발전하고 있다. 이런 사람들은 궁금증과 호기심을 가지고 사회와 더 깊은 교류를 한다. 자신이 주인으로 사는개방적 자아는 사회와 충돌을 빚을 것처럼 보이지만, 변화하는 사회의 흐름을 읽고 긍정적인 방향으로 진보시킨다. 드레이튼씨는 이런 사람들을체인지메이커라고 부르는 것 같고, 나는 이들은독립적 주체라고 부른다. 건명원에서 훈련하는 인재상인창의 인재와도 일맥상통하는 개념인 것 같다.

빌 드레이튼은 약 40년 전, ‘사회적기업가(Social Entrepreneur)’라는 개념을 만들었다. 그가 말하는 사회적기업가는 변화를 창조하되, 기존의 시스템과 방식 등문제의 뿌리를 없애거나사회 전체의 프레임을 바꾼 기업가를 말한다. 빌 드레이튼 덕분에 많은 사람들은 자신의 인생을 한 단어로 설명할 수 있게 됐다. 최 교수는 “체인지메이커란 단어도 직접 만든 것이냐고 질문했다.

=정확히 몇 년도에 만들었는지도 말해줄 수 있다(웃음). 1981, 인도 봄베이 사무실에 앉아서 아쇼카의 첫 뉴스레터를 만드는데 제목이 필요했다. 당시에 나만 해도 할머니한테내가 어떤 일을 하고 있습니다라고 설명할 수가 없었다. ‘나는 체인지메이커라는 개념을 떠올렸다. 정리하자면 사회적기업가는 모두 체인지메이커지만, 체인지메이커라고 모두 사회적기업가는 아니다. 어떤 분야의 시스템 자체를 바꾸는 기업가는소수. 하지만, 체인지메이커는 모두에게 요구되는 시대 정신이다. 이제는체인지메이커란 개념이 확산될 때다. 건강하고 행복한 개인이 되려면 각자가 체인지메이커가 되어야하고, 어떤 조직이든 살아남을려면 구성원들이 체인지메이커가 돼야한다. 아쇼카 내부적으로만 보면 40년 가까이 된 개념이지만, 많은 사람들의 입에 오르락내리락 거리는 개념이 된 것은 불과 3~4년 밖에 되지 않았다.

최진석-빌드레이턴 대담
글로벌 비영리 조직 ‘아쇼카’의 창업자 빌 드레이턴은 전 세계 100만명이 넘는 사회적기업가의 정신적 스승이다. 그는 ‘사회적기업가(social enterpreneur)’와 ‘체인지메이커(changemaker)’란 개념을 최초로 만든 사람이다(왼쪽). 하얀 스포츠머리의 최진석 서강대 철학과 교수는 노자 철학 권위자로, 한국에 인문학 열풍을 가져온 학자다. 그는 2015년부터 학교 밖 인재 양성소인 ‘건명원’의 원장을 맡고 있다. ⓒ조선일보 DB, 건명원

◇지금 필요한 것은 변화를 만드는 사람들

=한국이 체인지메이커 사회가 되면, 세계에 더 크게 공헌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한국은 지난 몇십년간 어린이들을 체인지메이커로 길러내는데 소홀했던 업보를 지금 치르고 있다. 학교 교육도 큰 몫을 했다. 예를 들어, 아이가 대나무를 이용해서 말을 만들어 타고 노는죽마놀이를 하고 있다고 생각해보자. 아이의 상상력과 체인지메이커로서의 활동성이 잘 발휘된 놀이다. 하지만 학교에 가서 배우는 것은그 죽마는 말이 아니다는 사실이다. 학교는 이미 정해진 것만 가르치고, 아이들이 무엇을 좋아하는지 묻지 않는 곳이 됐다. 나 역시 체인지메이커를 양성할 것인가에 관심이 많은데, 어떻게 이 문제를 풀어나갈 수 있을까.

최진석 교수는 2015시대적 반역자를 키우겠다며 동료 교수 7명과 함께 대학교 밖 인재 양성소인건명원을 세웠다. 매년 초 30여명을 압박 면접으로 선발해 철학, 과학, 예술 등 인문학을 집중적으로 가르친다. 학생들과 매달 한번 걷기 명상 수업을 진행하며, 사색의 과정을 몸으로 겪는 것도 특징적이다. 학비는 무료이며, 졸업생에 한해 한달 동안 세계 여행도 전액 지원한 적이 있다. 지난 2일까지 모집한 3기 모집 요강에는재학중이거나 졸업한 학교의 이름도 노출되지 않아야하며, 종교나 성별, 그리고 사진까지 붙이지 말라고 경고(?)하고 있다. 서류 전형에서 답해야하는 논제는 단 2가지. ‘첫째, 지금까지 어떤 꿈을 가지고 어떻게 살아왔는지 자신의 삶을 분석, 평가하라. 둘째, 대한민국이 직면한 가장 큰 문제는 무엇이며,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인은 어떤 역할을 하려고 하는지 기술하라.’. 체인지메이커 양성에 대한 최 교수의 고민이 엿보인다

=한국에만 있는 상황은 아니다. 미국의 중고등학교의 교장들과 부모들 또한 아이들을 체이지메이커로 키우는것이 결국 성공과 실패를 가른다는 것을 모르고 있다. 이것은 전 지구적인 이슈다. 변화하는 세상에서 아이들이 필요로 하는 역량은 과거와는 판이하게 다르다. 인지적 공감 능력, 섬세한 팀워크, 리더십, 체인지메이킹 그 자체이다. 이것들은 책을 읽어서 배우는 것이 아니라, 반드시 행동을 하면서 배울 수 있다. 150년 전에는 모든 아이가 글을 읽고 쓸 수 있게 하는 것이 중요했다. 그것 없이는 아무것도 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지금은 모든 부모, 교장, 아이들이 체인지메이커의 중요성을 아는 것이 시급하다. 이에 대해서는 우리 둘 다 동의하는 것으로 생각한다. , 그렇다면 당신의 전략은 무엇인가?

=나에게 “당신은 어떻게 할래?”라고 묻는 것으로 이해하겠다(웃음). 물론 나도 그 심각성에 대해서는 오래 전에 깨달았지만, 내 몸을 움직여 행동에 나선지는 이제 3~4년밖에 되지 않았다. 일단 최근엔건명원이라는 기관을 설립해서 연 30명 정도를 교육해서 배출하고 있다. 하지만 나의 고민은 이것을 어떻게 사회적으로 확산시킬 것인가에 있다. 노하우를 전수받을 수 있을까.

이어서 [빌 드레이턴-최진석 교수 특별 대담②] 편 읽기   

 

■ 빌 드레이턴

―하버드 인문학 학사 졸업, 옥스퍼드대 밸리얼칼리지 석사 졸업
―예일대 로스쿨 졸업
―맥킨지 컴퍼니 컨설턴트
―지미 카터 정부 환경 개혁기구 보좌관, 탄소배출권 개념 도입
―하버드대, 스탠퍼드대 객원 교수
―미국 최고 지도자 25인(2005년 US 뉴스앤드월드리포트)
―現 아쇼카 창업자

■최진석 교수
―서강대 철학과 학사, 석사 졸업
―베이징대 철학 박사
―하버드 옌칭연구소 방문학자
―캐나다 토론토대 동아시아학과 방문 교수
―現 서강대 철학과 교수
―現 건명원 원장
―저서: 〈탁월한 사유의 시선〉, 〈인간이 그리는 무늬〉, 〈생각하는 힘, 노자 인문학〉 등

관련 기사

Copyrights ⓒ 더나은미래 & futurechosun.com

전체 댓글

제261호 2024.3.19.

저출생은 '우리 아이가 행복하지 않다'는 마지막 경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