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당 기본급 100%를 성과급으로 지급하고, 그중 10%를 임직원 이름으로 기부한다.”
삼성 이건희 회장의 ‘신경영 20주년 특별 보너스’ 발표가 있은지 2년 6개월이 지났다. 삼성그룹은 지난 2013년 12월, 임직원의 보너스 기부금 1100억원을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이하 공동모금회)에 기부했다. 그 후 임직원 이름으로 전달한 1100억원의 행방은 규모만큼이나 초미의 관심사였다. 이재용 부회장이 ‘뉴 삼성호’ 선장이 된 지 2년. “고객과 국민에게 보답하라”는 이건희 회장의 뜻은 어떻게 계승되고 있을까.
첫 단추는 임직원 투표로 시작됐다. 2014년 1월, 공동모금회는 사회공헌사업본부 내에 전략기획팀(6명)을 꾸리고 사회공헌 사업 기획에 들어갔다. 삼성 계열사 28곳마다 보너스(기부금) 규모와 니즈가 다른 만큼, 각사 특성에 맞는 맞춤형 사회공헌 전략이 필요했기 때문. 두 달 뒤, 삼성전자 임직원 투표를 거쳐 6가지 주제가 선정됐다. △보육시설 퇴소 청소년 자립 지원 △저소득 가정 청소년 중증 치료비 지원 △모바일 헬스 기술을 활용한 아프리카 모자 보건 개선 △장애인 의사소통 보조기기 개발 및 지원 △에너지 복지 사업 △공공복지 시설 지원 등이다. 김경희 공동모금회 기업모금팀장은 “각 분야 전문가들로 위원회를 구성하고 매달 조언을 받아 전문성을 높였고, 계열사별로 충분한 의견 수렴을 거쳐 구체적인 계획이 나오기까지 평균 6개월에서 1년 정도 걸렸다”면서 “민간 차원에서 사회문제의 대안을 찾고 이를 제도화시키는 것이 목표”라고 설명했다.
매출만큼 보너스가 가장 많았던 삼성전자 임직원은 보육원 퇴소 아동 자립 지원에 3년간 150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전국의 보호아동 수는 약 3만2000명. 매년 약 5000명이 시설을 떠나 자립해야 하지만, 이 중 30.6%가 주거·생활비·정서 문제로 다시 빈곤층으로 내몰린다. 우선 시급한 퇴소 후 주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구와 부산, 강원도에 각각 대규모 자립지원센터를 만들기로 했다.
그 첫 열매로 지난해 9월 대구자립통합지원센터가 문을 열었다. 원룸형 오피스텔 28실과 자립체험관 2실이 갖춰져 있다. 청소년 10명당 사례 관리사가 1명씩 배치돼, 시설에서 나온 후 혼자 살아야 하는 이들을 위한 자립도우미 역할을 하도록 했다.
조동현 대구자립통합지원센터 사무국장은 “재정관리는 물론 가스레인지 불도 켜보지 못한 아이들이 대부분이라, 자립체험관에선 장보기·빨래·구청 방문 등 6만원으로 혼자 일주일 살아보는 연습을 시킨다”면서 “퇴소 전까지 자립 체험을 반복하면서 구체적인 계획을 세워가는 아이가 많아졌다”고 말했다. 올해 부산, 강원도에도 보호아동·청소년자립지원센터가 완공될 예정이다.
그 외 계열사는 업(業)의 특성을 살린 사회공헌에 집중하고 있다. 삼성생명은 청소년을 위한 자살 예방 사업을 진행 중이다. 삼성중공업은 지역사회를 위한 해양 환경 교육을 시작, 다양한 교육 및 체험을 통해 향후 초등학교 교재 개발까지 계획하고 있다. 삼성물산 패션부문은 시각장애 아동을 위한 촉각 도서 제작 및 맹학교의 버려진 공간을 미술 작업 공간으로 리모델링하는 사회공헌을 진행하고 있다. 최해윤 한국아동복지협회 단장은 “일시 후원과 달리 향후 전국 단위 확산 또는 제도 개선을 목적으로 지속적인 사회공헌이 이뤄진다는 점에서 기대가 크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