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제로 챌린지 2025
미세조류·농업 로봇·폐수 자원화…기후위기 넘어갈 3개 기술 나왔다

베트남서 만난 ‘기후테크’의 무대 <下> ‘넷제로 챌린지 2025’ 그랜드 파이널 수상 기업 3곳 베트남 기후테크 투자사 터치스톤파트너스와 싱가포르 테마섹재단이 공동 운영하는 글로벌 기후 기술 대회 ‘넷제로 챌린지 2025’에서 우승팀이 지난 21일 호찌민시에서 발표됐다. 이번 대회에서는 혁신적인 기후 기술을 베트남에서 실증할 3개 스타트업에 총 2000억 베트남 동(한화 약 111억8000만원) 규모의 보조금 및 상금이 수여됐다. 이는 재생에너지, 지속가능 농업, 순환경제 등 기후위기 대응 분야에서 혁신 기술을 검증하기 위한 취지다. 올해는 60개국에서 700개가 넘는 기술이 접수됐으며, 이 가운데 결선에 오른 9개 팀 중 ▲알카보 테크놀로지스(홍콩·재생 에너지 및 탄소 감축) ▲슈즈 애그테크(베트남·식량 시스템 및 지속 가능한 농업) ▲베트남 푸드(베트남·순환경제 및 폐기물 관리)가 각 트랙에서 최종 1위를 차지했다. ◇ 미세조류의 흡수 능력으로 배출가스 ‘자원’ 만든다 홍콩의 ‘알카보 테크놀로지스’는 미세조류가 산업 공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를 흡수해 새로운 바이오 소재로 전환하는 기술을 개발한다. 조류의 생물학적 흡수 능력을 활용해 배출가스를 처리하는 방식으로, 고배출 산업의 탄소 저감과 자원 생산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알카보의 시스템은 배출가스를 조류 배양조로 보내 탄소를 흡수하도록 설계돼 있다. 조류 기반 방식은 생물학적 전환이기 때문에 기존 탄소포집(CCUS) 기술보다 에너지 소비가 적고 운영 비용도 낮다. 제조업·발전소가 많은 베트남 산업 구조와도 잘 맞는 기술이라는 평가가 나왔다. 알카보는 현재 베트남 폐수처리 시설에 파일럿 시스템 구축을 준비 중이다. 넬슨 응(Nelson Ng) 대표는 <더나은미래>와의 인터뷰에서 “조류 기반 전환 기술은

700개 기술 몰린 ‘넷제로 챌린지’…한국 식스티헤르츠 결선 첫 진출

베트남서 만난 ‘기후테크’의 무대 <上> 재생에너지·농업·순환경제 3개 분야서 결선 열려…현장 적용성·확장성 중심으로 기술 평가 기후재해가 일상으로 번져가는 동남아에서, 이를 줄일 기술적 해법을 찾기 위한 국제 경연이 열렸다. 지난 21일 베트남 호찌민시 롯데호텔에서 열린 ‘2025 넷제로 챌린지’ 그랜드 파이널 현장. 올해 대회에 60개국에서 700개 넘는 지원서가 몰릴 만큼 관심이 컸다. 기후위기 대응이 산업과 정책, 기업 활동 전반을 뒤흔드는 가운데 기술의 실효성과 현장 적용 가능성을 직접 확인하려는 수요가 커진 결과다. 베트남은 최근 몇 년 동안 폭우·홍수·산사태 등 극단적 기상현상이 반복되고 있다. 이번 달 중부 지역에서는 집중호우로 90명이 넘게 숨졌고, 베트남 국가통계청(GSO)은 올해 자연재해 사망·실종자가 279명, 피해액이 20억 달러(한화 약 2조9400억원)를 넘는다고 밝혔다. 지형적 취약성과 기후변화가 겹치면서 재해의 강도와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런 상황에서 기후기술은 더 늦출 수 없는 대응 수단이 되고 있다. ◇ 기후재해 늘어난 베트남…기술 기반 대응 필요성 부각 ‘넷제로 챌린지’는 베트남 기후테크 투자사 터치스톤파트너스와 싱가포르 테마섹(Temasek)재단이 호찌민시 개발연구소(HIDS)와 협력해 2022년부터 운영하는 글로벌 기후 기술 대회다. 산업·도시의 배출 저감, 지속 가능한 농업, 폐기물 관리 등 베트남이 당면한 문제를 기술적으로 해결하려는 기업을 발굴·지원하는 것이 목표다. 올해는 GS건설이 전략 파트너로 처음 참여했고, 아이비엣벤처스(AiViet Ventures)와 38M벤처스, 싱가포르 센브콥인더스트리스(Sembcorp Industries) 등이 투자 파트너로 합류했다. <더나은미래>는 공식 아웃리치 파트너로 현장을 취재했다. 결선에는 ▲재생에너지·탄소 감축 ▲식량 시스템·지속 가능한 농업 ▲순환경제·폐기물 관리 3개 분야에서 각각 3개

베트남서 ‘넷제로 챌린지 2025’ 열린다…기후 혁신 스타트업 격전

재생에너지·농업·순환경제 3대 분야 공모, 9월 1일까지 접수 더나은미래, 공식 아웃리치 파트너로 대회 소식·결선 현장 취재 베트남 기후테크 투자사 터치스톤파트너스와 싱가포르 테마섹 재단이 ‘넷제로 챌린지 2025’를 개최한다. 호찌민시 개발연구소(HIDS)와 손잡고 3년째 이어지는 이번 대회는 베트남의 시급한 기후 문제를 해결할 혁신 프로젝트를 발굴하는 글로벌 경연 무대다. 올해 대회는 ▲재생 에너지·탄소 감축 ▲식량 시스템·지속 가능한 농업 ▲순환 경제·폐기물 관리 등 3개 분야에서 진행된다. 산업·건물의 배출 저감과 에너지 효율화, 식량 안보와 재해 대응, 플라스틱·전자 폐기물 처리 등 현지와 맞닿은 과제를 겨룬다. 먼저 ‘재생에너지·탄소 감축’ 분야에서는 산업과 건물에서 나오는 배출을 줄이고, 재생에너지 보급과 효율 향상을 앞당길 기술과 사업 모델을 찾는다. ‘식량 시스템·지속 가능한 농업’ 분야는 생산량을 늘리면서 환경 피해를 최소화해 식량 안보를 확보하는 해법, 자연재해를 예측·감지해 대응력을 높이는 아이디어가 대상이다. ‘순환경제·폐기물 관리’ 분야에서는 쓰레기 발생 자체를 줄이고 자원 활용도를 높이는 방안, 특히 플라스틱·전자·유기성 폐기물처럼 베트남이 당면한 현안을 풀어낼 솔루션을 모은다. 칸 트란(Khanh Tran) 터치스톤파트너스 파트너는 <더나은미래>와의 인터뷰에서 “초기 단계의 기후 기술은 큰 임팩트를 낼 잠재력이 있지만, 긴 개발 기간과 불확실한 상용화 과정 때문에 어려움이 따른다”며 “이에 기후 혁신을 가속하기 위해 창업자들이 전통적 벤처투자의 즉각적인 압박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혁신을 시험할 수 있도록 보조금 기반 지원 방식을 도입했다”고 밝혔다. 참가 신청은 9월 1일까지 받으며, 10월 초 결선 진출자가 발표된다. 이후 한 달간 코칭을 거쳐 11월 말 ‘그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