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결과
따뜻한 밥 한끼 차려두고 당신을 기다립니다

노숙인 재활 돕는 ‘바하밥집’ 김현일 대표 인터뷰   “어서 오세요.” 김현일(50) 대표가 웃으며 가게 문을 열었다. 노란빛 조명과 나무재질의 아늑한 실내. 4계절 내내 따뜻할 것 같은 이 곳은 가난한 이웃들과 따뜻한 밥 한 끼를 나누는 곳, ‘바하밥집’이다. 50m² 규모의 공간,

버려진 물건, 디자인을 만나 새롭게 태어나다

서울새활용展 업사이클링 제품 3인 3색 인터뷰   “와, 이런 것도 재활용이 된다고?” 폐 우산은 파우치가 되고, 버려진 청바지 원단은 모자가 됐다. 전시장을 지나는 사람들은 진열된 제품을 요리조리 살피며 연신 ‘신기하다’는 반응이었다. 새로운 디자인으로 ‘제 2의 생명’을 얻은 제품에서 원래 소재를

집 같은 집, 새동네가 만듭니다

새동네 프로젝트 이재준 소장 인터뷰 “머리 아플 때 두통약 먹으면 대안이 되나요?” 4년 간의 대안 주거 실험을 마친 ‘새동네’의 이재준 소장이 묻는다. “셰어하우스가 나쁘다는 게 아니에요. 셰어하우스는 현대판 ‘하숙집’이죠. 일시적으로 필요에 의해 생길 순 있다고 봅니다. 하지만 그걸 정책적 대안

이기는 것보단 함께… “하나, 둘, 셋! 체육 시간이 너무 기대돼요”

뉴스킨코리아 ‘뉴 스포츠 스쿨’    협동 바운스·핸들러 등 경쟁 대신 호흡 필요한 체육 커리큘럼 진행 20년간 이어온 나눔 희망도서관 18곳엔 기증 도서로 채워   원 모양으로 빙 둘러앉은 아이들의 손에는 알록달록 커다란 천이 들려 있었다. 고개를 좌우로 돌리며 양옆 친구들과 호흡을 맞춘다. “하나,

사회적 기업을 위한 국제적인 기준선은? (下)

사회적 기업의 여성리더와 여성고용이 늘고 있다. 세 국가(방글라데시, 파키스탄, 인도)의 사회적 기업 영역에서 공통적으로 여성이 두각을 보이고 있다. 인도의 주요 기업에 여성리더가 차지하는 비율이 8.9%에 그치는 것에 비해, 사회적기업에서는 24%에 달한다. 파키스탄과 방글라데시에서는 주요 기업의 여성리더가 13% 미만인 것에 비해,

[기부 그 후] 음악으로 세상을 보는 아이들

실로암필하모니 음악캠프의 마지막 날. 피아노 독주무대를 앞둔 준형이의 등으로 식은땀이 흘렀습니다. 오랫동안 피아노를 쳐왔지만, 무대는 언제나 준형이를 떨리게 만들었습니다. 눈으로 볼 수는 없지만 멘토 형, 누나들과 존경하는 음대 교수님들까지. 준형이를 위해 캠프에 찾아와준 사람들의 뜨거운 응원과 격려가 느껴지는 듯 했습니다.

사회적기업 10년 이끈 리더들, 글로벌 현장서 배우다

‘사회문제를 해결하면서 비즈니스를 지속할 수 있을까.’ 사회적기업가들은 늘 이런 고민을 한다. 업력(業歷)이 10년 남짓 되는 1세대 사회적기업들엔 신성장 동력을 찾는 것 또한 큰 과제다. 요람부터 무덤까지 지원하는 돌봄 사회적기업 ‘동부케어’, 친환경 패션 사회적기업 ‘오르그닷’, 어둠속에서의 100분간 체험 전시를 기획·운영하는 ‘엔비전스’.

“심리 치료도 감기 주사처럼 자연스러운 것”…어린이 마음 감싸는 ‘좋은마음센터’ 지난 5년

굿네이버스 아동·청소년 심리정서지원사업 ‘좋은마음센터’ ‘한 아이를 키우기 위해서는 온 마을이 필요하다.’ 이 아프리카의 속담만큼, 이윤지(가명·11)양의 상황을 잘 설명하는 건 없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이양은 몇 주 동안 씻지 않는 일이 다반사였다.집은 쓰레기로 발 디딜 틈조차 없었다. 낮은 자존감과 불안 증상으로 친구들과도

“초기 개입으로 호전될 수 있는 아동 정신 건강 문제는 뒷전… 사각지대 없애야”…굿네이버스심리정서지원사업 콘퍼런스

굿네이버스 심리정서지원사업 콘퍼런스 지난달 24일 ‘굿네이버스 심리정서지원사업 콘퍼런스’에 참석한 패널들이 아동·청소년의 정신 건강 증진을 위한 대안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굿네이버스 제공“전국 초·중·고 학생 중 6만여명이 심리 지원이 필요한 ‘관심군’으로 분류됐다. 고위험군 아동을 ‘치료’하는 단계를 넘어, 보편적·예방적 의미의 정신 건강 증진이

제262호 창간 14주년 특집

지속가능한 공익 생태계와 함께 걸어온 14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