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 세계 100명의 투자자와 기업가가 한자리에 모였다. 지난 3일부터 5일까지 제주에서 개최된 글로벌 임팩트 투자 포럼 ‘D3 임팩트 나이츠(D3 Impact Nights)’. D3쥬빌리가 개최하고 더나은미래가 미디어 파트너로 참석한 이번 행사에는, 임팩트 투자자와 기업가·비영리단체·금융기관 등 ‘임팩트 투자’ 생태계에 속하거나 관심 있는 각양각색의 이들이 현장을 메웠다. ‘임팩트 투자’의 글로벌 트렌드를 비롯, 향후 전망에 대한 논의가 밀도 깊게 오갔다. 포럼을 관통하는 여덟 가지 장면을 뽑았다. (각 꼭지의 전문은 연동된 더나은미래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하다.) #1 “나는 ‘어쩌다’ 임팩트 투자자가 되었나” 임팩트 투자자 4명의 ‘자기 고백’이 이어졌다. 나는 어쩌다, 왜, 임팩트 투자자가 됐나. D3쥬빌리의 이덕준 대표, 원종준 라임자산운용 대표, 윤훈섭 스타트업앤젤클럽 대표, 유럽 전반에서 활동하는 케이 하레야마(Key Hareyama) 록클라이밍파트너스 대표가 ‘임팩트 투자’에 발 들이게 됐던 저마다의 스토리를 들어볼 수 있다. 기사 전문(futurechosun.com/archives/17603) #2 “어느 날 ‘미션’이 내게로 왔다” 스탠퍼드 출신, 실리콘밸리 기업가가 ‘물 사업가’로 거듭난 이유는? 개발도상국 주민들에게 생수를 보급하는 임팩트 기업 ‘언탭트’의 창립자 짐 추(Jim Chu) 이야기다. 실리콘밸리에서 성공해 백만장자가 된 컴퓨터 공학자가 ‘임팩트 투자’ 전도사로 거듭난 이유는? 글로벌 임팩트 투자자이자 KL펠리시타스 재단을 설립한 찰리 클라이스너(Charly Kleissner). 이들이 말한다. ‘어느 날 미션이 내게로 왔다’고. 기사 전문(futurechosun.com/archives/17605) #3 임팩트 펀드매니저, “우리도 투자로 돈 번다, 보람은 덤” VC(벤처 캐피털)와 임팩트 투자, 둘 다를 경험한 현직 펀드 매니저들이 말하는 임팩트 투자의 모든 것. 다음은 현장에서 오간 말말말. “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