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대비한 투자… 기업에게 손해 아닌 기회

英 비영리 단체 ‘CDP’ 마커스 노턴 본부장… 주요기업 66곳, 연 1300조원 투자해 대중에게 안정적·지속가능 기업으로 인식… 한국기업도 노하우·데이터 축적해야 “기후변화 대응은 기업에 리스크가 아니라 또 다른 기회다.” 마커스 노턴(Marcus Norton·사진) ‘CDP(Carbon disclosure project)’ 영국 본부 대외협력본부장의 조언이다. CDP는 전 세계 금융투자기관의 위임을 받아 주요 기업의 온실가스 배출 현황과 정책을 분석하고, 투자자 및 금융기관이 이러한 정보를 고려해 투자할 수 있도록 하는 비영리단체다. 매년 전 세계 5000여개 기업이 CDP에 기후변화 대응과 관련된 경영 정보를 공개하고, 뱅크오브아메리카·골드만삭스 등 767개 금융기관이 이를 반영해 보다 지속 가능한 기업에 투자하고 있다. CDP가 매년 분석·발표하는 ‘기후성과 리더십 지수(CPLI)’는 다우존스(DJSI·Dowjones Sustainability Index)나 블룸버그 지속가능경영지수와 더불어 가장 신뢰성 높은 글로벌 지속가능성 평가지표로 꼽힌다. 지난 3일, CDP한국위원회가 국내 250개 주요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주최한 ‘기후변화 대응 우수 기업 시상식’ 참석차 방한한 그를 만났다. M&A 전문 변호사로 시작, 영국 환경청에서 환경법·정책을 만들다가 2009년 CDP에 합류한 마커스 노턴은 영국 기업의 기후변화 대응과 관련해 영향력 있는 전략가로 불린다. ―영국 등 선진국은 기후변화 이슈를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가. “영국은 상장기업들의 공시자료에 온실가스 배출량을 반드시 공시하도록 의무화하는 법을 시행하고 있고, EU는 기업 6000여곳에 기업의 환경·사회·거버넌스 등 CSR 관련 사항을 보고서에 담아 투자자들에게 공개하도록 했다. 중국 정부도 2만여개 기업에 온실가스 배출량을 보고하도록 했다. 기업에 대한 정부 및 투자자들의 요구는 앞으로 더욱 거세질 것이다.” ―한국도 내년 1월 1일부터 온실가스

“전기 펑펑 쓰던 때 지났다… 한국도 이젠 기후변화의 리더”

세계적인 에너지 석학 델라웨어대 존 번 교수 20년 넘게 기후변화 연구… 유엔 IPCC 핵심멤버로 노벨평화상 수상 기여 기후변화 문제 대응 위해 온실가스 절반 줄여야 “배출량 세계 7위 한국… 개발도상국 분류돼 감축 의무 제외됐지만 이제는 피할 수 없어… 미래 에너지 고민해야” “GCF(Global Climate Fund·녹색기후기금)는 한국 사회에 엄청난 자극이 될 것입니다. GCF는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만들어진 기구인데, 한국이나 송도가 지속가능하지 않다면 어떻게 될까요. 한국은 이제 기후변화의 리더 역할을 해야 합니다.” 지난 8일 방한한 세계적인 에너지 석학 델라웨어대 존 번(John Byrne) 교수의 충고다. 세계 7위의 온실가스 배출국인 우리나라가 그동안 개발도상국으로 분류돼 감축의무에서 제외돼왔지만, 이제는 피해갈 명분이 사라졌다는 의미다. 경제적 부담도 만만치 않을 것임을 예고했다. 그는 델라웨어대 에너지환경정책연구소(CEEP, Center for Energy&Environmental Policy) 소장이자, 유엔 IPCC(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패널)의 핵심멤버로 활동하면서 2007년 IPCC가 노벨평화상을 수상하는 데 기여했다. 중국 외교부의 환경전문위원이기도 하다. 존 번 교수는 ‘기후변화’라는 용어조차 생소하던 1980년대부터 20년 넘게 이 분야를 연구해온 학자다. “처음에는 궁금했어요. ‘인간이 기후변화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90% 이상’이라는 보고서를 보고 깜짝 놀랐죠. 이 분야를 연구하면서, 인간의 정치·사회·경제가 기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걸 알게 됐어요. 또 제가 대학원생이던 1973년부터 75년까지 석유파동(아랍 산유국들의 유가 인상과 수출 중단으로 원유값이 폭등해 벌어진 경제적 혼란)을 겪었어요. 당시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는 한창 건물·도로 등 인프라를 만들던 때였는데, 다 멈췄고 해당 지역 총생산액의 10%를 잃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