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사업이나 기업에 돈을 투자하는 ‘임팩트투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임팩트투자 도매기금’이 주목받고 있다. 임팩트투자 도매기금이란 비영리기관, 사회적경제조직 등에 투자하는 중개기관에 자금을 지원하는 ‘도매상’ 역할을 하는 기금이다. 영국의 사회투자은행 ‘빅소사이어티캐피털(BSC)’이 임팩트투자 도매기금의 대표적인 예다. ☞빅소사이어티캐피털이 궁금하시다면? 국내에서도 ‘한국형 BSC’ 설립을 위한 움직임이 시작됐다. 정부가 지난 1월 사회적 금융 활성화 방안 중 하나로 앞으로 5년간 3000억원 규모의 ‘사회가치연대기금’을 설립하겠다는 계획을 내놓은 것이다. 소셜벤처, 지역경제, 도시재생, 사회서비스, 문화예술, 프랜차이즈형 협동조합 등 6개 분야의 성장인프라구축에 기금을 투입하겠다는 취지다. 지난 2월에는 민간 주도로 ‘사회가치연대기금 추진단’이 꾸려져 국내 현실에 맞는 기금구조와 운영방법 등을 논의해왔다. 지난달 11일 ‘임팩트투자 도매기금과 사회적금융시장 활성화방안’ 워크숍이 서울 SK행복나래 수펙스홀(SUPEX Hall)에서 열렸다. 이날 워크숍에는 BSC의 클리프 프라이어(Cliff Prior) 대표가 방한해 BSC의 사례와 전 세계 임팩트투자 도매기금 현황을 공유했다. 행사는 임팩트금융 국가자문위원회(NAB)의 주관으로, 7월 12일부터 이틀간 열린 ‘사회적 가치와 금융’ 국제컨퍼런스의 일환으로 개최됐다. ◇임팩트 투자 생태계 키우는 ‘도매기금’…전 세계로 확산 BSC는 영국 내 사회투자은행, 비영리감독기관 등 중개기관에 자금을 지원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영국 정부는 지난 2012년 사회적금융 시장의 확대를 위해 영국 내 휴면계좌에 쌓인 6억 파운드, 4대 메이저 시중은행의 출자금 3억 파운드로 BSC를 설립했다. 이 기금은 영국 내 사회문제를 해결하려는 자선단체나 사회적기업으로 투자되고 있다. 사회적 금융 생태계를 키우는 것도 BSC의 핵심 역할이다. 프라이어 BSC대표는 “우리는 시장을 개발하는 개발자이면서 투자기관”이라며 “투자기금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