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여성, 다문화 요리강사가 되다 #1. 중국에서 치과의사로 일했던 주채홍(38세)씨는 지난 2008년 국제결혼으로 한국 땅을 밟았다. 그러나 기대와는 달리 적응은 쉽지 않았다. 경력을 살릴만한 직장을 찾아봤지만 헛수고였다. 중국에서 알아주는 전문직 종사자였지만 본국에서의 경력은 인정되지 않았다. 한국어 공부를 시작했지만 아이를 낳고부터는 그마저도 녹록치 않았다. #2. 몽골인 서드 초롱(38세)씨는 어린이집 교사였다. 지금의 남편을 만나 한국에 왔지만, 한국어가 미숙한 그녀가 일자리를 찾는 건 하늘의 별따기였다. 서드씨는 식당 일을 하다가 근처 미싱 공장에 취직했다. 아침부터 밤까지 꼬박 일해도 한 달에 버는 돈은 100만원 남짓. 그녀는 결국 육아를 위해 공장 일도 그만둬야했다. 그런데 최근 두 사람에게 어엿한 직장이 생겼다. ‘다문화 아동 요리 강사’라는 직함도 달았다. 고려대 인액터스(Enactus) 팀에서 시작한 ‘다울림 프로젝트’를 통해서다. 다울림 프로젝트란, 기회가 없어서 또는 사회의 편견때문에 역량을 발휘하지 못하는 이주여성들을 어린이집 출강 강사로 양성하는 프로젝트다. 지난 2013년 첫 유료 출강을 시작한 이래, 지금까지 총 8명의 다문화 강사를 배출하고 서울시내 4000명 이상의 아이들에게 수업을 제공했다. ◇ 이주여성을 위한 ‘좋은’ 직업 만들기 “처음에는 선생님들 모두 ‘한국 사람이 무섭고 대화를 나누는 것이 불안하다’고 하셨어요. 한국인과의 소통에 두려움이 컸죠. 해결 방안을 찾다가, 선생님도 누군가의 어머니시니 어린 아이들을 가르치는 일은 괜찮지 않겠느냐는 아이디어가 나왔어요. 이에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다문화 강사를 양성하기로 했습니다.” (문다은(22) 다울림 프로젝트 매니저·고려대 경제학과 3년) 2011년, 다울림은 이주여성들을 지원하는 한 복지관에 강사 모집 공고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