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경제 2.0] ①패션공유플랫폼 ‘클로젯셰어’ 지난해 공유경제는 심각한 위기에 직면했다. ‘공유의 가치’를 내세워 성공 신화를 쓴 공유오피스업체 ‘위워크’와 차량공유업체 ‘우버’가 흔들리면서 공유경제의 패러다임 자체를 바꿔야 한다는 목소리가 줄을 이었다. 공유를 통해 플랫폼과 소비자, 노동자가 이익을 나눠 갖는 본래의 취지는 옅어지고, 독점적 지위를 바탕으로 이윤을 남기는 플랫폼이 득세한다는 성토가 끊이지 않았다. 우리나라도 이른바 ‘타다 논란’으로 시끄러웠다. 공유경제의 붐을 타고 등장한 타다는 ‘쾌적한 승차 경험’을 무기로 인기를 끌었지만 택시업계와 상생하려는 노력이 부족하다는 지적을 받았다. 글로벌컨설팅업체 PwC에 따르면, 국제 공유경제 시장 규모는 2013년 150억달러(약 17조4000억원)에서 2025년 3350억달러(약 388조5000억원)로 커질 전망이다. 더나은미래는 폭발적으로 커지는 공유경제 분야에서 ‘질적 성장’을 도모하는 소셜벤처·사회적기업 등을 차례로 살펴보는 기획을 마련했다. 첫 번째 주자는 패션공유플랫폼 ‘클로젯셰어’다. 개인 간 의류 대여를 중개하는 소셜벤처로 옷을 빌려주는 사람과 빌리는 사람, 플랫폼이 이익을 나눠 갖고, 패션 재화의 낭비를 막아 환경보호에도 이바지한다는 평가를 받는다. ‘셰어러’와 ‘렌터’ 연결해 패션의 수명을 늘리다 문화 행사 기획자로 일하는 30대 여성 신모씨는 지난달 클로젯셰어에서 디자이너 브랜드 다이앤 본 포스텐버그의 드레스를 빌려 연말 파티에 입고 갔다. 구매하려면 50만원 넘게 내야 하는 옷이지만, 일주일간 대여 비용으로 낸 돈은 4만4000원에 불과했다. 신씨는 “인스타그램에 드레스를 입은 사진을 올리고 나서 옷 예쁘다는 칭찬을 100번은 들었다”며 만족감을 보였다. 2017년 2월 서비스를 시작해 올해로 사업 3년 차에 접어든 클로젯셰어는 ‘셰어러(Sharer·옷을 빌려주는 사람)’와 ‘렌터(Renter·옷을 빌리는 사람)’를 연결한다. 헌 옷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