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진정한 국민중심 소통 정책 펼치려면

[기고] 국민과 정부의 소통은 시대를 거치며 진화해 왔다. 첫 번째 시기는 정부 홍보의 태동과 민주적 전환기를 거친 ‘공보의 시대’다. 1945년 11월 미 군정기 공보과가 신설된 이후 공보는 1997년까지 그 명맥을 유지했다. 두 번째 시기는 적극적으로 대국민 홍보를 강화한 ‘국정 홍보의 시대’다. 언론뿐 아니라 대국민 직접 홍보가 적극적으로 모색된 시기로, 뉴미디어 등 다채널 시대에 맞는 다각화된 홍보가 시도되었다. 하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열심히 국민에게 정책을 알리면 정부의 진정성을 알아줄 것이라는 호소형 소통의 한계에 봉착했다. 이제 정부의 대국민 소통도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전환해야 할 때가 된 것이다. 그렇다면 정부가 직면한 새로운 소통 패러다임은 무엇일까. 현 시기는 ‘국민중심 소통의 시대’라고 할 수 있다. 국민중심 소통이란, 국민에게 홍보하는 것이 아니라 국민과 함께 소통하는 것이다. 쟁점이 내재한 정책은 시간을 갖고 국민과 대화하며 사회적 담론을 만드는 과정이 필요하다. 소위 광고홍보전문가가 제작해 화려한 문구로 치장한 정책 광고를 집행하는 것보다 국민이 만들어 낸 투박하지만, 공감이 가는 메시지를 공유하는 방식이 더 효과적인 소통이 될 수 있다. 소통의 패러다임이 정부 주도에서 민관 협력, 일방적인 정보 전달에서, 듣고 동참하도록 하는 소통으로 변화된 것이다. 국민을 수동적 존재로 보아서는 안 되며 시민의식을 기반으로 실천 의지를 고취하는 협력의 동반자로 받아들여 소통해야 한다. 그래야만 창의적인 국민 공감형 소통 콘텐츠를 만들 수 있다. 정책은 국민의 일상 속 문제를 다루는 해결책이다. 정부는 큰 의제를 제시하고 소통의 동기를 유발해내는 역할에

제262호 창간 14주년 특집

지속가능한 공익 생태계와 함께 걸어온 14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