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가치를 게임 안에서 찾다…임팩트 게임의 세계

게임 콘텐츠에 사회적 가치를 도입하는 시도가 두드러지고 있다. 이른바 ‘임팩트 게임’(Impact Game)이다. 소셜 임팩트(Social Impact)와 게임(Game)을 결합시킨 신조어다. 플레이 자체만으로 이용자에게 사회적 메시지와 교감을 유도하기 위해 콘텐츠 기획 단계에서부터 사회적 메시지를 주제로 삼는 것이 특징이다. 물론 사회 이슈를 게임으로 만들어 변화를 모색한 시도는 과거에도 있었다. 다만 교육, 건강 분야에 집중돼 대중들이 생각하는 전통적 게임의 개념과 거리가 멀었다. 그렇다 보니 흥행도 쉽지 않았다. 최근 국내에서 임팩트 게임이 잇따라 출시되고 있다. 지난달 14일(현지 시각) 미국 뉴욕에서 열린 북미 최대 기능성게임 행사 ‘2020 G4C 페스티벌’에는 연해주 독립운동사를 다룬 스토리 게임 ‘MazM: 페치카’가 처음으로 소개됐다. 또 국내 기업이 세계 최초로 발달장애인을 위한 가상현실(VR) 바리스타 직업훈련 게임 ‘버추얼 바리스타’를 선보이면서 이목을 집중시켰다. 게임 업계에도 다양성이 필요하다 국내 게임 제작사 자라나는씨앗은 지난 7월 우리나라에서도 크게 조명받지 못한 20세기 초 연해주 독립운동사를 녹여낸 모바일 게임을 내놨다. 게임명은 ‘MazM: 페치카’. 페치카(Печка)는 러시아식 난로를 뜻하는 단어로, 독립운동가 최재형(1860~1920) 선생의 별명이다. 특히 올해는 최재형 선생의 순국 100주년이기도 하다. 게임 업계에서 연해주 독립운동을 다룬 건 이번이 처음이다. 김효택 자라나는씨앗 대표는 “겉핥기식 역사 콘텐츠로 남지 않기 위해 전문가의 검증을 바탕으로 스토리 라인을 구축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게임 제작에는 역사연구자 모임 ‘만인만색 연구자 네트워크’가 참여해 게임 속 내용에 대한 철저한 고증 과정을 거쳤다. 게임은 스토리텔링 형식으로 플레이된다. 주인공은 조국의 정체성을 찾지 못한 연해주 지역

제262호 창간 14주년 특집

지속가능한 공익 생태계와 함께 걸어온 14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