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3월 28일(목)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해외 석사 학위’ 있어야 국제개발협력 전문가?

경력·실무 경험 많아도
학위 없으면 채용 후순위

‘좋은 일자리’ 부족 탓
스펙 경쟁 치열해져
비영리 환경 개선돼야

국내 한 국제개발협력 비영리단체에서 일하는 A씨는 올해 영국 대학의 석사과정을 시작했다. 연간 수천만원에 달하는 학비가 부담됐지만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다. 이 단체에서만 6년째 근무했고, 단체 입사 전 개도국 현장에서 3년이나 활동한 경험이 있는 베테랑이지만 실무 경험만으론 업계에서 인정받기 어렵다고 느꼈다. A씨는 “교육·훈련·포럼 등에 수도 없이 참여하면서 역량을 개발하고, 경력이 쌓여도 학위 없이 전문가로 인정받기는 어렵다”고 했다.

이미 취직한 상태에서 학위 과정 중인 A씨는 그나마 형편이 나은 편이다. 국내 한 비영리단체에서 일하는 이화연씨는 “국제개발협력 분야 활동가로 취업하고 싶어 일부러 석사 학위를 땄다”고 했다. 대부분 단체의 신입 직원 지원 자격이 ‘대졸 이상’으로 명시돼 있지만, 현실적으로 인턴 자리조차 얻기 어려웠다. 이씨는 “석사과정을 마치고 나서야 이름난 비영리단체에 취직할 수 있었다”면서 “이쪽 분야에선 석사 학위가 기본 스펙이 된 지 오래”라고 말했다. 실제로 국제개발협력계의 ‘대기업’이라는 큰 단체는 물론 중소 규모 단체까지 대졸 신입이 지원할 수 있는 국내외 정규직·계약직 채용 공고에 석사 학위를 우대 사항으로 명시하고 있다.

국제개발협력 분야 전문가들은 비영리 내부에 ‘좋은 일자리’가 그만큼 부족하기 때문에 벌어지는 현상이라고 설명했다. 국제개발협력 분야에서 15년 넘게 일한 한 활동가는 “생활이 가능할 정도의 급여를 받을 수 있고 시스템도 갖춰진 단체는 이 분야에서 말 그대로 ‘한 줌’ 남짓”이라며 “경쟁이 치열해지다 보니 지원자들이 조금이라도 더 ‘스펙’을 쌓으려고 석사 학위를 따고 심지어 해외 유학을 가는 경우도 많다”고 했다. 또 다른 국제개발협력 NGO 팀장급 활동가는 “YP(Young Professional·코이카가 지원하는 국제개발협력 분야 인턴십) 지원자들의 학벌과 경력을 보면 입이 쩍 벌어진다”면서 “해외 명문대 석사 학위를 갖춘 사람도 수두룩해서 학력만 보면 ‘내가 이들에게 배워야 하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 정도”라고 했다.

익명을 요구한 활동가 B씨도 “채용 공고상 지원 자격을 대졸로 명시하더라도 실제 합격자는 대부분 석사 학위 보유자”라고 말했다. B씨는 “지금 다니는 비영리단체에서 3년간 근무했는데 그간 대졸 신입으로 입사한 20명 넘는 직원 가운데 석사 학위가 없는 사람은 두 명뿐이었다”면서 “두 명 중 한 명은 해외 장기 봉사 활동 경력이 있었고, 다른 한 명은 해외 명문대 졸업생이었다”고 했다.

아시아의 한 개도국에서 3년 이상 일하다 최근 유학길에 오른 C씨는 “현지에서 사업을 총괄하는 ‘프로젝트 매니저’라 해도 표면적으로는 영수증 관리, 보고서 작성 등 행정 업무하는 사람 취급을 받는다”면서 “현지 적응력과 포용력, 주민과 소통하는 능력은 국제개발협력 분야에서 필요한 가장 중요한 능력이지만 이런 건 ‘전문성’으로 인정해주지 않는다”고 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국제개발협력 활동가들 사이에서는 “현장에서 1~2년 정도 있다가 영국·미국으로 유학 가서 학위를 따 와야 경력에 도움이 된다”는 말이 나온다.

양동화 지구촌나눔운동 교육개발팀장은 “비영리단체의 전반적인 급여와 업무 환경을 개선하고, 학위뿐 아니라 현장 활동가들의 경험도 ‘전문성’으로 인정하고 우대해야 한다”고 했다.

[박선하 더나은미래 기자 sona@chosun.com]

관련 기사

Copyrights ⓒ 더나은미래 & futurechosun.com

전체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