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보안·운영 효율 높인다…LGU+, ‘알파키’ 기능 추가

LG유플러스는 통합 계정관리 솔루션 ‘알파키(AlphaKey)’에 워크플로우 스튜디오를 비롯한 신규 기능을 추가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업데이트는 기업이 활용하는 다양한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와 클라우드 기반 업무 환경에서 직원 계정·권한 관리 효율을 높이고, 보안 수준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이다.

LG유플러스는 통합 계정관리 솔루션 ‘알파키(AlphaKey)’에 워크플로우 스튜디오를 비롯한 신규 기능을 추가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업데이트는 기업이 활용하는 다양한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와 클라우드 기반 업무 환경에서 직원 계정·권한 관리 효율을 높이고, 보안 수준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이다. 사진은 LG유플러스 직원들이 워크플로우 스튜디오 등 알파키의 주요 기능을 소개하고 있는 모습. /LG유플러스

알파키는 직원의 신원·인사 정보를 기반으로 업무용 계정과 접근 권한을 자동 관리하는 LG유플러스의 ID관리 서비스(IDaaS)다. 양자내성암호(PQC)와 동형암호 기술을 적용해 보안성을 높였으며, 입·퇴사 시 권한을 자동 부여·회수해 계정 운영 부담을 줄인다. 특히 해외 IDaaS 솔루션들이 기능별로 복잡한 요금제를 운영하는 것과 달리, 알파키는 단일 요금제로 싱글사인온(SSO), 다중 인증(MFA), 계정 생명주기 관리, 감사 리포트 등 핵심 기능을 모두 제공한다.

이번 업데이트의 핵심은 ‘워크플로우 스튜디오’ 기능이다. 별도의 코딩 없이 규칙 설정만으로 입사자 계정 생성, 부서별 프로그램 접근권한 설정, 장기 미접속 계정 정리 등 반복 업무를 자동화할 수 있다. 기업 규모가 커질수록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계정 운영 업무의 효율을 크게 높인다는 설명이다.

또한 기업의 IT 시스템 통합 환경 구축을 돕는 ‘API 연동’ 기능도 추가됐다. 협업툴, ERP, HR SaaS 등 다양한 업무 시스템에서 알파키의 계정 관리 기능을 직접 호출할 수 있어, 사용자 조회·권한 부여·계정 생성 등 주요 기능을 통합 업무 시스템 안에서 실행할 수 있다.

보안 강화를 위한 ‘모바일 기기관리(MDM) 연동’ 기능 역시 포함됐다. 원격근무 확산으로 개인기기 사용이 늘면서 기업 보안이 취약해지는 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이 기능을 활용하면 회사가 승인한 기기만 로그인할 수 있도록 제한할 수 있으며, 보안 패치가 적용되지 않은 OS나 등록되지 않은 개인 스마트폰·노트북은 접속 단계에서 자동 차단된다. LG유플러스는 “업무용 기기 관리 체계를 강화해 내부 정보 유출 위험을 크게 낮출 수 있다”고 설명했다.

주엄개 LG유플러스 유선사업담당(상무)은 “알파키는 기업의 복잡한 계정 관리·보안 체계를 자동화·표준화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진화하고 있다”며 “이번에 추가된 노코드 기반 워크플로우 스튜디오, API 연동, MDM 연동 기능이 운영 효율성과 보안 수준을 동시에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

조유현 더나은미래 기자

관련 기사

Copyrights ⓒ 더나은미래 & futurechosun.com

전체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