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교육포럼 위한 시민사회 역량 강화 세미나 오는 5월 인천 송도에서 전 세계인의 교육 받을 권리를 논하는 국제회의 ‘2015 세계교육포럼’이 개최된다. 세계교육포럼 개최에 앞서 국제개발협력시민사회포럼(KoFID)은 시민사회 역량 강화를 위한 세미나를 연다. 지난 22일 열린 제1차 세미나에서는 한국월드비전 직원 등이 참여해 국제
기획·이슈
세계교육포럼 위한 시민사회 역량 강화 세미나 오는 5월 인천 송도에서 전 세계인의 교육 받을 권리를 논하는 국제회의 ‘2015 세계교육포럼’이 개최된다. 세계교육포럼 개최에 앞서 국제개발협력시민사회포럼(KoFID)은 시민사회 역량 강화를 위한 세미나를 연다. 지난 22일 열린 제1차 세미나에서는 한국월드비전 직원 등이 참여해 국제
전 국토를 폐허로 만들어 놓은 한국전쟁의 아픔을 딛고 우리는 세계에서 유례없는 경제성장을 이루었다. 냉장고 하나도 못 만들던 우리가 가전은 물론이고 자동차, 건설, 조선, 반도체, 정보통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세계의 산업을 이끌고 있다. 지구촌 인구 3분의 1이 한국이 만든 휴대폰을 사용하고
대학생들이 가고싶은 기업의 사회공헌 담당 4명… 그들의 현장 이야기 루게릭 환자에게 안구 마우스 “아들아 사랑을 주지 못해 미안하구나” 7년만에 전한 메시지 베트남서 일주일에 141명 수술 수시로 정전돼 문 열어놓고 작업 열악한 환경서도 몰두하던 모습 선해 대학생들 사이에서 기업 사회공헌팀의 인기는
2015년 아름다운재단 공개채용 아름다운재단이 경영관리 부분 2명, 모금 부분 4명, 사업 부분 정규직 간사 5명을 채용한다. 분야별 주요 업무와 우대사항은 아름다운재단 홈페이지(www.beautifulfund.org)에서 확인할 수 있다. 아름다운재단 홈페이지에서 채용응시서를 내려받아 이력서와 함께 작성해 이메일(apply@beautifulfund.org)로 제출하면 된다. 지원 서류는 2월 1일 저녁
평균비용 2억5000만원… 94% 기부금으로 인력·예산과 전문성 부족 어려움 지역과 호흡하며 함께 성장해온 기업이 있다. 지난 60년간 국내에서 시멘트와 레미콘 제조·판매를 하고 있는 ‘아세아시멘트㈜’ 이야기다. 충북 제천군 송학면에 공장을 설립한 아세아시멘트는 1973년부터 공장 인근 마을에 매년 발전기금 2억원을 지원하고 있다. 5억원을
엔터테인먼트 기업의 사회공헌 로엔, 불우청소년 음악 트레이닝 캠프 SM, 이주여성을 해외콘서트 통역사로 FNC, 아프리카·동남아에 학교 세워 YG, 학교폭력 고통받는 청소년 음악치료 “아이들이 꼭 ‘스펀지’ 같아요.” 김규남 보컬트레이너(추계예대 실용음악과 보컬전공 교수)가 노래 연습에 한창인 학생들을 보며 말했다. 김 트레이너는 “첫날 보곤
비영리단체 위기관리 5대 전략 ① 소통 창구의 단일화 ② 사건 직후 2시간 내 즉시 대응 ③ 철저한 사실관계 확인 ④ 사후 경과를 투명하게 공개 ⑤ 위기 가상체험으로 대응력 높여야 기부금을 불법으로 모금했다며 고발당한 아름다운재단, 아름다운가게, 희망제작소가 4년 만에 누명을 벗었다.
NGO들의 개도국 바로보기 ‘죽어가는 아이들의 땅’ ‘굶주린 곳’ 동정·희화화 없이 개도국 바로봐야 아프리카인사이트, 사진전 개최 국제개발 NGO 6곳, 국내 최초로 미디어 가이드라인 발표해 호응 “아이들 편식하면 ‘아프리카 애들은 그것도 없어서 못 먹는다’는 말 쉽게 하잖아요. 이런 게 다 편견이거든요. 개그나
허점투성이 난민 지원 실태 인도적 체류자, 기본적 생활 보장 없어 보여주기식 행정… 난민법 보완 필요 시리아 내전을 피해 아델(34·가명)씨와 조카 압둘(32)씨가 한국에 온 것은 2014년 3월. 이들은 난민인정 신청 3개월 뒤 인도적 체류를 허가받았다. 그러나 의료·소송 등을 목적으로 입국한 외국인에게
조혈모세포 기증 수난사 “골수기증 아니냐” 오해에 가족 반대 직장선 “법이 어쨌든 휴가는 못 줘” 실제로는 헌혈처럼 간단히 채취 가능 “생명 살릴 기회, 독려 분위기 조성하고… 교육 통해 기존 희망자 이식률 높여야” 최근 백혈병 진단을 받고 투병 중이던 은모(4)양은 절망적인 소식을
작지만 강한, 强小 NPO <5>위드 몽골의 전국 학교에 단계별 급식을 도입한 우리나라 비영리단체가 있다. 식품영양 전문 NGO ‘위드(with)’가 그 주인공이다. 몽골은 수도 울란바토르 거주 성인의 절반(47.7%)이 비만일 정도로, 만성질환 위험률이 높은 나라다. 반면 아이들은 밀가루 빵으로 때우거나 그조차도 없어 영양
선진국 베이비부머의 자원봉사 단카이세대(전쟁 직후 1947~1949년생)라 불리는 일본 베이비부머 숫자는 약 800만명. 베이비부머의 은퇴를 우리보다 먼저 맞이한 일본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들의 자원봉사 참여율을 높이고 있다. 도쿄의 무사시노시 마을에선 매년 지역 축제가 열린다. 일명 ‘아버지 돌아오셨어요’ 파티. 이 파티는 일본의 비영리단체들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