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6차 평가보고서 WG2 보고서. /IPCC제공
IPCC “기후위기로 식량·물 안보위기… 26억명 감염병 노출”

기후위기로 전 세계의 식량 안보가 위협받고 최대 26억 명의 인류가 전염병에 걸릴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지난달 28일(현지 시각)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는 ‘제6차 평가보고서 WG2 보고서’를 승인했다고 밝혔다. 보고서의 제목은 ‘영향과 적응 그리고 취약성(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으로 67개국 과학자 270명이 작성하고 IPCC 195개 회원국 대표단이 검토했다. 이번 보고서에는 생태계 변화와 식량·물 부족, 감염병 위협 등 기후위기로 전 세계에서 일어날 수 있는 구체적인 문제들이 담겼다. 우선 보고서는 기후변화가 생태계에 돌이킬 수 없는 피해를 일으켰다고 강조했다. 전 세계적으로 생물종 절반이 서식지를 고위도, 고지대로 옮겼고 1950년대 이후 해양 생물종의 서식지는 10년 당 최대 55km씩 북쪽으로 이동했다. 해양 생물종의 계절변화도 10년 단위로 3~7.5일씩 빨라진 것으로 조사됐다. 이러한 생태계의 변화로 멸종 위기종이 크게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보고서는 지구 온도가 1.5도 오르면 이번 세기 말까지 육상 생태계 전체 종의 3~14%가 매우 높은 멸종 위험에 처할 것으로 전망했다. 온도 상승 폭이 3도일 경우에는 매우 높은 멸종 위험에 처할 가능성이 큰 종이 최대 29%까지 올라간다. 최악의 경우인 5도가 상승하는 시나리오에선 매우 높은 멸종 위험에 처하는 종이 48%에 달한다. 보고서는 현 추세대로 온실가스가 배출되는 경우 현재의 작물생산, 축산 지역이 2050년까지 10%, 2100년까지 30% 넘게 먹거리를 생산하기에 부적합한 기후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또 이번 세기 말 해양의 식물성 플랑크톤과 동물성 플랑크톤이 각각 6%, 9%가량 감소해 수산 자원의

[모두의법] 전염병과 국가의 보호의무

출근길 지하철을 타니 주변 모두가 마스크를 쓰고 있다. 미세먼지가 기승을 부릴 때도 보기 힘든 풍경이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가 불러온 공포를 실감한다. 외부에서 오는 전염병에 대한 공포는 종종 ‘바깥’으로 인식되는 사람들에 대한 배타와 차별로 이어진다. 인터넷 커뮤니티에는 후진적인 중국의 식문화를 성토하는 글들이 가득하다. “NO CHINA”를 선언하며 중국인 출입을 막는 가게들도 생겨났다. 미지의 병에 대한 공포와 생존에 대한 갈망은 본능에 가깝다. 문제는 공포가 타자에 대한 차별과 혐오로 이어지는 기제다. 혐오 정서에 편승하고 부추기는 몇몇 언론의 모습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대림동을 가보니 실로 위생상 문제가 많았다”는 ‘르포’ 기사가 버젓이 언론매체에 실리고 있다. 전염병에 대한 공포는 구성원들을 보호해야 할 국가의 존재 이유를 소환한다. 몇 년 전 메르스 방역의 실패는 지난 정권이 제대로 기능하지 않았다는 근거 중 하나로 제시되기도 했다. 그러나 즉흥적인 여론에 즉각 호응하는 것만이 국가의 보호의무일까. 정확한 정보를 전달해 불필요한 공포의 확산을 막고, 방역에 가장 효과적인 방안을 수립하는 것이 지금 국가가 해야 할 일이다. 국가 3부 기관 중 하나인 입법부의 모습은 어떠한가. 일부 국회의원은 혐오 여론에 재빨리 편승해 ‘중국인 입국 금지’ 법안을 발의했다. 2018년 제주도 내 예멘인 난민신청이 불러온 ‘법안 발의 러시’와 비슷한 행태다. 당시에도 ‘대중 추수주의’를 넘어 ‘혐오 추수주의’에 가까운 법안들이 우후죽순으로 발의됐다. 대부분 난민의 권리와 생존을 제한하는 것들이었다. 하지만 국회 본회의에 올라간 법안은 전무하다. 이번 입국금지 법안 등도 혐오정서의 불쏘시개로

“네팔, 대지진 이어 전염병 예방해야”

제롬 김 국제백신연구소 사무총장·의사 상상하기도 싫은 일이다. 네팔 지진과 여진의 비극은 또 다른 재앙의 전조가 될 수 있다. 다름 아닌 몬순(Monsoon), 즉 장마철이 다가왔기 때문이다. 수많은 사람이 위생이 열악한 난민촌에 오랫동안 거주하고 있는데, 현재는 드물게 발생하는 설사 질환이 급속히 확산할 수 있다. ‘전염병의 폭풍(storm)’이 오기 전에 국제사회는 콜레라·장티푸스·홍역·간염 등 감염 질환의 창궐을 막는 데 온 힘을 쏟아야 한다. 특히 콜레라는 자연재해로 인해 창궐하는 대표적인 수인성 질병이다. 치료를 받지 않으면 콜레라 환자는 탈수 증세로 인해 몇 시간 내에 사망할 수 있다. 풍토성 콜레라 지역인 ‘말라위’에서는 올해 초 발생한 대규모 홍수로 인해 20여만명이 집을 잃었다. 수재민 캠프에서는 이후 몇주 동안 콜레라가 창궐했다. 사망자들도 발생하기 시작했다. 이에 국제백신연구소(IVI), 한국 정부, 기아자동차, 세계보건기구(WHO)를 포함한 국제 협력기관들이 말라위 정부와 힘을 합쳐 긴급 콜레라 예방접종을 실시했다. 이재민 캠프와 그 주변에 살고 있는 주민 10만여명에게 경구용 콜레라 백신을 접종했다. 특히 사용된 백신은 한국 정부, 빌앤멜린다게이츠 재단, 스웨덴 정부 등의 지원으로 국내에 본부를 둔 국제기구인 IVI가 개발한 것이다. 말라위의 발 빠른 대응 뒤에는 지난 시절 아이티와 르완다, 남수단의 뼈아픈 사례를 통해 얻은 교훈이 있다. 특히 아이티는 2010년 대지진 후 대규모 콜레라 창궐 사태를 겪었으며, 역설적이게도 이 사태는 네팔 평화유지군의 주둔으로 인해 시작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재난 초기에 백신 접종이 실시되지 않았고, 뒤늦게 국제 구호기구들이 아이티 주민들에게 백신을 접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