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경제 활성화 유공자’에 서훈 35개 수여…주목할 사례는?

지난 5일 대전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2회 대한민국 사회적경제 박람회’ 개막식에서 에서 정부가 사회적경제 육성에 기여한 유공자에게 국민훈장(1점), 국민포장(4점), 대통령 표창(12점), 국무총리 표창(18점) 등 총 35점의 포상과 표창을 수여했다.  이날 수상에 나선 문재인 대통령은 협동조합, 마을기업, 사회적기업, 중간지원조직 등 각 분야 대표 수상자에게 직접 시상했다. 문 대통령은 격려사를 통해 “수상자 모두가 취약계층 지원과 사회적경제 발전에 큰 기여했다”며 “나보다 우리를, 소유보다 나눔을 실천한 사회적경제인 모두에게 존경의 박수를 보낸다”고 밝혔다. 이날 사회적경제 관계자들은 대규모 포상에 기쁨을 감추지 못했다. 개막식을 지켜보던 한 관계자는 “사회적경제를 두고 ‘공산주의하자는 거 아니냐’는 말을 듣던 게 불과 얼마 전”이라며 눈물을 글썽이기도 했다. 서훈을 받은 수상자들은 의료, 마을 공동체 활성화, 소셜벤처, 소수자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있다. 이번 서훈 수상자 가운데 주목할 만한 네 가지 사례를 소개한다. 최고 상훈 ‘국민훈장 동백장’, 국내 첫 의료사회적협동조합에 가장 큰 상인 국민훈장 동백장은 이인동 안성의료사회적협동조합(안성의료사협) 원장에게 돌아갔다. 이 원장은 안성의료사협을 1994년 설립 당시부터 이끌어 온 공로를 인정받았다. 안성의료사협은 1994년 연세대 의대생들이 세운 우리나라 최초의 의료생협으로, 2014년 의료생활협동조합에서 의료사회적협동조합으로 명칭을 바꿨다. 설립 당시 250여 명의 조합원과 1억2000만 원의 출자금으로 문을 연 안성의료사협은 현재 6300명이 넘는 조합원과 10억4000여만 원에 달하는 출자금을 보유하고 있다. 조합원당 가족 수를 고려하면 경기 안성시 인구의 8%가 의료사협을 통해 의료 혜택을 누리고 있는 셈이다. ‘생애주기에 맞춘 조합원 평생 돌봄’을 내세우는 의료사협은 문

문재인 대통령 “사회적경제는 포용국가의 한 축”…활성화 의지 천명

문재인 대통령이 5일 대전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2회 대한민국 사회적경제 박람회’에 참석해 “사회적경제는 우리 정부가 추구하는 ‘사람중심 경제’와 ‘포용국가’의 중요한 축”이라며 사회적경제 분야를 전폭적으로 지원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날 대전에서 열린 사회적경제 박람회 개막식에는 국내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는 사회적경제조직 관계자를 비롯한 정부·지방자치단체 인사 등 800여 명이 참석했다. 이날 개막식에서 문 대통령은 “아시아 최빈국이었던 우리나라는 반세기 만에 세계 1위 경제 대국으로 우뚝 섰지만, 빠른 성장 과정에서 불평등과 양극화, 환경파괴와 같은 다양한 사회문제도 나타났다”며 “이윤을 앞세우는 시장경제의 약점과 공백을 사회적 가치를 생각하는 사회적경제로 메울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문 대통령은 사회적경제를 전폭적으로 지원하는 구체적인 계획을 밝혔다. 대표적으로 ▲사회적경제 성장 인프라 확충 ▲금융지원 확대 ▲사회적경제 기업 판로확대 ▲다양한 사회적경제 모델 발굴 ▲도시재생 사업과 연계한 지역 일자리 창출 ▲사회문제 해결 R&D 추진 등 지원 분야가 대폭 확대된다. 연내에 원주·광주·울산·서울 등 4개 지역에 ‘사회적기업 성장지원센터’를 설치하고 군산·창원에는 ‘사회적경제 혁신타운’을 시범 조성한다. 정책금융 지원 규모는 3230억원 규모로 작년보다 67%까지 늘린다. 또 2022년까지 5000억원 규모의 임팩트펀드를 조성하고, 임팩트 보증 제도도 1500억원으로 확대한다. 이 밖에 공공기관 평가항목에 ‘사회적기업 제품 구매’를 반영해 사회적경제 기업의 공공 판로 확대를 지원할 계획이다. ‘사회적경제 3법'(사회적경제기본법, 공공기관의 사회적 가치 실현에 관한 기본법, 사회적 경제기업 제품의 구매촉진 및 판로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대한 조속한 처리를 당부하는 메시지도 전했다. 문 대통령은 “오래 전부터 국회에 계류돼 있는 ‘사회적경제 3법’의 조속한 처리를 바란다”며 “사회적경제가 깊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