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정에서 NPO의 뿌리 찾았다” 국내 비영리 활동가들의 중국 탐방기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아 국내 비영리 활동가들이 중국에서 독립운동가들의 발자취를 따라가는 여정에 나섰다. 일제에 항거한 독립운동가들이 자발적으로 조직한 임시정부를 우리나라 최초의 비영리단체(NPO)로 보고, 그들의 활동을 되짚는 과정 속에서 NPO의 나아갈 방향을 함께 모색하자는 취지다. 비영리 중간지원조직 공익경영센터는 지난달 15일부터 4박5일 일정으로 비영리 활동가들과 중국 상해(上海)·자싱(嘉兴)·항저우(杭州)·난징(南京) 등 임시정부의 주요 거점을 탐방하는 ‘임시정부를 통해 배우는 비영리의 미래’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서울혁신센터, 생명을나누는사람들, 선교한국, 성서유니온, 부산사회적경제포럼, 부산대천마을공동체, 한빛누리재단, 밀알두레교육공동체 등 단체에서 20여명이 참여했다. 임시정부 돌아보며 비영리 정신 되새겨 탐방의 첫발은 상해에서 내디뎠다. 상해는 임시정부가 처음으로 터를 잡은 곳이다. 김철, 여운형, 조소앙, 이회영 등 29명의 독립운동가는 3·1운동에서 독립선언이 나오고서 한 달여 만인 1919년 4월 11일 상해 프랑스 조계지에서 임시정부 수립을 선포했다. 임시정부는 1932년 항저우로 피난할 때까지 14년간 상해에서 항일 투쟁을 주도했는데, 일제의 감시가 심해지고 재정난까지 겹치면서 다섯 번이나 청사를 옮겨야 했다. 현재는 루완취 마땅루 푸칭리의 청사가 유일하게 남아 있다. 1926년부터 6년간 사용된 상해 시절 마지막 청사로, 상해 최대 번화가인 신천지의 변두리에 외롭게 자리 잡고 있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유적지’라는 현판이 나붙지 않았다면 그냥 지나쳐도 이상하지 않을 만큼 낡고 작은 임시정부 청사와 요원·가족 숙소로 쓰인 영경방 터를 마주한 탐방단은 저마다 탄식했다. 부산사회적경제포럼 소속 황혜란(51)씨는 “세월이 내린 임시정부 청사를 보니 마음이 먹먹하다”며 “먼 타국에서도 조국의 독립을 위해 헌신한 선배 활동가들의 정신을 새삼 기리게 된다”고 말했다. 상해 시절 임시정부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