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파괴’ 논란 아마존 벨루 몬치 수력발전소, 가동 후 온실가스 배출 3배 늘어

세계 3위 규모의 수력발전소 벨루 몬치가 댐을 가동하기 이전보다 3배나 많은 온실가스를 배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벨루 몬치 수력발전소는 사업 초기 단계부터 아마존 환경을 파괴할 수 있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AFP 통신에 따르면, 다이우손 베르타솔리 상파울로대 교수 연구팀은 지난 25일(현지 시각) 벨루 몬치 수력발전소의 온실가스 방출량 연구 결과를 과학 저널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에 게재했다. 연구 결과 지난 2년간 벨루 몬치 수력발전소의 댐을 가동하면서 배출한 온실가스 양이 댐 건설 이전보다 3배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댐 저수지에 형성된 거품이 썩으면서 온실가스가 방출된 것이다. 베르타솔리 교수는 “댐이 가동되면서 물에 잠기는 지역이 늘어나면 그곳에 있던 유기물이 썩기 시작한다”면서 “강 대신 메탄을 방출하는 원자로를 갖게 된 셈”이라고 전했다. 브라질 아마존강 지류인 싱구강에 건설된 벨루 몬치 수력발전소는 중국 싼샤(三峽) 댐과 브라질-파라과이 국경에 있는 이타이푸 댐에 이어 세계 3위 규모다. 벨루 몬치 댐 건설 사업은 1970년대에 추진됐다. 지난 2010년 사업자가 선정되고 공사가 시작됐지만, 원주민과 환경단체의 반발이 일었다. 당시 환경·인권 단체는 댐 건설로 원주민 수만 명의 생활 터전이 없어지고 아마존 생태계가 파괴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후 2011년 수몰 지역을 최소화하는 수로식댐으로 공사를 재개해 2019년부터 댐 가동이 시작됐다. 댐 건설 사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도 환경 파괴에 대한 지적이 계속됐다. 2018년 레안드로 발레 페레이라 브라질리아대 교수 연구팀은 과학저널 ‘생물보존’(Biological Conservation)에 게재한 논문을 통해 벨루 몬치 댐 가동으로 싱구 강에 서식하는 희귀 어류

[진실의방] 여전히 천동설을 믿는 사람들

  “쇼하네!”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업체 ‘아마존’의 CEO 제프 베이조스가 최근 사재를 털어 100억달러(약 12조3000억원)를 기부하겠다고 선언했지만, 사람들의 반응은 시큰둥하다 못해 싸늘하다. 그는 이른바 ‘베이조스 지구 기금(Bezos Earth Fund)’이라는 걸 조성해 이 돈을 기후변화 대응에 쓰겠다고 밝혔다. 칭찬받아 마땅할 일인데 되레 욕을 먹는 이유는 아마존이 ‘기후위기 악당 기업’으로 명성이 높기 때문이다. 아마존은 전자상거래 사업과 배송 사업 등으로 전 세계 탄소배출량을 늘리는 데 큰 공(?)을 세우고 있다. 기후변화를 가속화하는 기업 운영 방식은 바꾸지 않고 기후변화 대응 기금을 만들겠다고 하니 거액을 내놓고도 좋은 소리를 못 듣는 것이다. 최근 SNS에서 번지고 있는 ‘나쁜 기업 사회공헌 활동 기금 거부 운동’도 흥미롭다. 국내 복지기관에서 일하는 사회복지사들이 “내부적으로 문제가 있는 기업의 기부금은 받지 않겠다”고 선언하는 릴레이 운동을 펼치고 있다. 이번에 지목된 곳은 한국마사회다. 지난해 벌어진 문중원 기수 사망 사건과 관련해 무책임한 모습을 보인 한국마사회의 사회공헌 활동 기부금을 거부하는 운동을 진행 중이다. 아마존도 그렇고, 나쁜 기업들의 보여주기식 사회공헌 활동에 큰 차질이 예상되는 상황이다. 세상이 바뀐 걸 모르고 여전히 수익만을 쫓는 기업들은 투자도 받기 어려워졌다. 올 초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BlackRock)은 “앞으로 기업에 투자를 결정할 때 ‘기후변화’와 관련된 대응을 하고 있는지를 주요 지표로 삼겠다”고 발표했다. 석탄화력 등 탄소배출량이 많은 기업에 대한 투자금부터 빼겠다고 밝혔다. 물론, 블랙록이 환경을 위해서 이런 결정을 했다고는 생각지 않는다. 석탄화력 산업의 경제성이 떨어지고 있다는 게

“자기 집 ‘아마존’부터 청소하라”… CEO 베이조스, 12조원 기부하고도 뭇매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업체인 ‘아마존’의 최고경영자(CEO) 제프 베이조스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100억달러(약 12조원)를 기부하겠다고 밝힌 뒤 오히려 여론의 뭇매를 맞고 있다. 베이조스는 지난 17일(현지 시각) 개인 인스타그램을 통해 100억달러 규모의 ‘베이조스지구기금(Bezos Earth Fund)’을 설립하겠다고 발표했다. 이 기금으로 기후변화의 새로운 해결책을 제시하는 NGO나 연구자들을 지원하겠다는 것이다. 그런데 베이조스의 발표 직후 환경단체를 중심으로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기업 운영 방식은 그대로 두고 기부금을 통해 이미지 세탁만 하려 한다”는 비난의 목소리가 일기 시작했다. 그린피스 미국 사무소는 공식 트위터를 통해 “아마존이야말로 어마어마한 환경 문제의 근원지”라며 “베이조스는 ‘자기 집'(아마존)부터 청소하라”고 일침을 날렸다. 미국 민주당 하원의원인 알렉산드리아 오카시오코르테스도 “기부금을 낼 게 아니라 기업 운영 방식을 친환경적으로 바꾸면 될 일”이라고 꼬집었다. 베이조스를 향한 시선이 싸늘한 이유는 그간 아마존이 ‘기후 악당 기업’으로 지목돼 왔기 때문이다. 2019년 기준 아마존의 연간 탄소배출량은 4400만t으로, 스위스·노르웨이와 같은 나라의 연간 탄소배출량과 맞먹는 수준이다. 그가 진정성 논란에 휩싸인 이유는 또 있다. 아마존의 환경 파괴 활동을 감시하는 내부 직원 모임인 ‘기후정의를 위한 아마존 노동자들(AECJ·Amazon Employees for Climate Justice)’을 대놓고 탄압해왔기 때문이다. 그간 아마존은 환경 파괴의 주범으로 알려진 ‘비피(BP)’나 ‘셸(Shell)’ 등 석유 시추 기업에 자체 개발한 데이터 관리 기술을 제공해왔다. AECJ 회원들이 이에 대해 공개적으로 반대 의사를 나타내자, 지난달 초 베이조스가 “주동자를 해고하겠다”고 협박했고 이 사실이 알려지면서 논란이 일었다. 한편 AECJ 측도 베이조스의 기금 설립과 관련해 논평을 냈다. 이들은

흩어진 데이터 모아 사회 변화 도구 활용… 시민이 세상을 바꾼다

새로운 시민 운동 방식 ‘데이터 액티비즘’ 지난달 초 개설된 웹사이트 ‘노노재팬’은 일본 제품 불매운동에 참여하는 소비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식품부터 자동차까지 일상 소비재 가운데 ‘메이드 인 재팬’인 것들을 소개하고 대체할 수 있는 국산제품도 제안한다. 노노재팬의 모든 데이터는 일반 시민이 자발적으로 모은 것이다. 누구나 사이트에 새로운 일본 제품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고, 이미 등록된 제품 데이터를 수정하거나 추가할 수 있다. 일본 제품 중에서도 노노재팬에 등록된 제품이 매출에 특히 큰 타격을 입고 있다는 게 유통업계의 분석이다. ‘데이터’가 시민사회의 새로운 활동 무기로 주목받고 있다. 노노재팬의 사례처럼 평범한 시민이 흩어져 있던 데이터를 십시일반 모아 사회적으로 가치 있는 지식 자산으로 만들어내기도 하고, 시민단체가 데이터 활용 기술을 활용해 권력기관의 의도적인 정보 은폐와 왜곡 실태를 밝혀내는 일도 벌어진다. 이처럼 데이터를 사회 변화의 도구로 삼는 시민운동 방식을 ‘데이터 액티비즘(Data Activism)’이라 한다. 해킹 등 법에 저촉되는 방식은 동원하지 않고 공개된 데이터(open data)를 활용하거나 직접 데이터를 구축하는 것이 데이터 액티비즘의 원칙이다. 케냐의 ‘우샤히디(Ushahidi) 프로젝트’는 데이터 액티비즘의 첫 사례로 꼽힌다. 이 프로젝트는 2008년 케냐 대통령 선거 후 벌어진 민간인 집단 학살 사건을 계기로 시작됐다. 우샤히디는 스와힐리어로 ‘증거’란 뜻. 정부가 사건을 은폐·축소하고 있다고 느낀 케냐 사람들이 직접 사건 실태를 드러낼 증거 수집에 나서면서다. 시민들이 주변에서 발생한 폭력 사건 횟수와 사상자 수를 직접 조사해 자료를 넘기면 엔지니어들이 구글 지도 위에 빨간 불꽃으로

수퍼리치 8명, 세계 인구 절반 재산 소유…옥스팜 ‘99%를 위한 경제’

수퍼리치 8명이 전 세계 인구 절반과 같은 부(富) 소유옥스팜 ‘99%를 위한 경제’ 보고서 발표   빌 게이츠, 워런 버핏 등 ‘슈퍼리치’ 8명과 세계인구의 절반(하위 50%, 약 36억명)의 재산이 같은 것으로 조사됐다. 2010년에는 이보다 48.5배 많은 388명이 하위 50%와 같은 재산을 보유하고 있었다. ‘부의 불평등’이 더욱 심해진 것이다. 글로벌 국제구호기구 옥스팜은 지난 16일 ‘99%를 위한 경제(An economy for the 99 percent)’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발표했다. 옥스팜은 보고서를 통해 “부유한 기업과 개인이 조세회피, 임금하락, 정치적 영향력 증대 등을 통해 부의 불평등 현상을 심화시키고 있다”고 지적하며 “소수의 부유층이 아닌 다수를 위해 경제구조상의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1988년부터 2011년까지 23년간 세계 하위 10%의 소득은 1인당 65달러 증가한 반면, 상위 1 %의 소득은 182배 많은 1만1800달러 증가했다. 이대로라면 향후 25년내 세계 최초의 조만장자(trillionaire)가 탄생할 수도 있다. 남녀의 불평등도 두드러졌다. 보고서에 따르면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 비율은 남성에 비해 약 27%p 낮았다. 중동과 북아프리카 지역 여성 중 오직 4분의 1만이 임금을 받는 노동시장에 진입해있으며, 인도·파키스탄 등이 포함된 남아시아 지역은 임금 노동자 중 여성은 3분의 1만에 불과했다. 옥스팜 보고서는 “이런 추세라면, 남녀의 임금이 같아지기까지 약 170년이 걸릴 것”으로 예측했다. 옥스팜은 부의 불평등 문제가 이달 17일부터 20일까지 스위스에서 개최되는 ‘세계경제포럼 연차총회(이하 다보스포럼)’에서 해당 보고서를 발표했다. 포럼에 참석한 위니 비아니마(Winnie Byanima) 옥스팜 인터내셔널 총재는 “경제 불평등은 전 세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