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사회복지사 뜬다 식이장애 환자·교정 청소년 등 전문성 갖춘 복지사 늘어 대상자 처우는 좋아지는데 사회복지사 여전히 열악 “최근 홀로 계신 할머니 걱정과 군대 부적응이 겹쳐 탈영한 군인이 있었다. 이제 단순히 ‘걱정 말라’는 상담만으론 부족하다. 군(軍)사회복지사는 할머니의 경제 환경을 돌봐주는 등 문제를 실질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지난 25일, 경기도 의정부에서 열린 한국군사회복지협의회 창립총회 현장. 조성심 신한대 사회복지학과 교수가 전문 사회복지사의 필요성을 설명했다. 관심사병의 군대 적응을 돕기 위해 군사회복지사 양성을 시작한 조 교수는 “프랑스·미국 등 선진국에선 사회복지학과를 졸업한 장교가 군사회복지사병으로 입대할 정도로 군사회복지 영역이 제도화돼 있다”면서 “사회문제가 복잡해지는 만큼 전문 사회복지사가 다양한 영역으로 확대되는 것은 시대적 흐름”이라고 강조했다. ◇사회복지사, 소년원 등 이색 현장으로 현재 사회복지사 자격증 취득자는 약 71만명. 전년 대비 약 7만5000명이 늘었다(2014년 한국사회복지사협회). 이에 증가한 사회복지사 수만큼 이들이 진출하는 영역도 다양해지고 있다. 먹고, 토하고, 굶는 것을 반복하며 하루에도 수십번 체중계에 오르던 최민지(가명·24)씨는 2년 전 식이장애 전문 병원을 찾았다. 어린 시절의 ‘뚱뚱하다’는 놀림, 자기관리가 엄격한 가족 분위기가 원인이었다. ‘말라야만 사랑받을 수 있다’는 강박을 떨치고, 하루 세끼를 꼬박 챙겨 먹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다. 그녀는 매주 정신보건사회복지사를 만나 식생활을 점검하고, 생각과 행동을 조금씩 바꿔나갔다. 2년에 걸친 꾸준한 치료 끝에 섭식장애에서 벗어난 최씨는 휴학했던 학교도 다시 다니고 있다. 8년간 식이장애 환자를 상담·치료해온 정신보건사회복지사 박준영(34·연세 엘 정신과 의원)씨는 “체중 감량을 능력으로 여기는 사회 분위기가 식이장애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