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4월 19일(금)

‘한강의 기적’ 뒤엔 ‘국제 원조’ 디딤돌 있었다

과거 한국의 복지를 책임졌던 부서는 보건사회부다. 보건위생이나 방역, 구호, 아동, 가족계획과 관련한 사무를 맡던 보건사회부는 1955년에 설치되어 1994년에 보건복지부로 개칭됐다. 전쟁 직후 보건사회부만의 힘으로 국내의 가난과 질병을 다스리기에는 역부족이었다.

그때 국제구호NGO는 든든한 파트너였다. NGO의 활동이 아동결연사업에서 가정개발사업이나 지역개발사업으로 확장되던 시기인 1960년대에는 이런 경향이 두드러진다. 1961년 보건사회부 예산은 9억5000만원인 데 비해 같은 해 해외에 기반을 둔 원조단체의 전체후원금(외원전체액)은 20억5500만원으로 보건사회부 예산의 두 배를 웃돈다. 1960년 1인당 국민소득은 1만원. 국가도 개인도 자신의 삶을 책임지기엔 버거웠다. 60년대가 저물어가는 순간까지 외원전체액과 보사부예산은 한국의 빈곤을 해결하는 데 비슷하게 힘을 모았다.

1960년부터 1969년까지 보사부 예산의 합계는 416억8200만원, 같은 기간 외원전체액은 384억8800만원으로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 그 사이 1970년 1인당 국민소득은 9만원, 1960년에 비해 9배가 늘었다. 보건사회부 예산이 외원전체액을 크게 넘어선 것은 1970년부터다. 1970년부터 1975년까지 보건사회부 예산은 426억8900만원으로, 외원전체액 148억5500만원에 비해 3배가량 많은 액수다. 한국의 경제력이 성장하면서 해외의 원조도 줄거나 중단되었고, 그 사이 국민 개개인도 살만해졌기 때문이다.

1980년 1인당 국민소득은 100만원, 10년 전인 70년대에 비해 다시 10배가 뛰었다. 1990년 1인당 국민소득은 435만원, 세계가 괄목할 만한 성장이었다. 이러한 성장의 배경에는 정부가 힘들 때 그 뒤를 지켜준 원조단체의 노력이 있었다. 오늘날 국내의 구호단체들은 과거의 우리보다 더 힘들게 사는 사람들을 돕기 위해 활동을 벌이고 있다. 2009년 한국구호단체 중 상위 5개 단체가 확보한 정기기부 회원 수는 88만명, 모금액은 2400억원이다. 한국의 모금과 정기기부도 한국 경제만큼 비약적으로 성장하기를 기대해본다.

관련 기사

Copyrights ⓒ 더나은미래 & futurechosun.com

전체 댓글

제261호 2024.3.19.

저출생은 '우리 아이가 행복하지 않다'는 마지막 경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