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9월 24일(화)

23%→33% 기업-NPO 파트너십 늘고, 문화예술·환경… 활동 영역 더 넓어졌다

기빙코리아 2015, 기업 사회공헌 10년 분석

매출액 대비 기부금 비율 꾸준히 줄어
사회공헌 전담 인력·자원봉사 감소세
상장·비상장, 대기업·中企 간 격차는 줄어

국내 다국적기업, 평균 2억4000만원 기부
9억5000만원 낸 獨, 국내 다국적기업 중 1위

지난 10년간 기업의 매출액 대비 기부금 비율이 꾸준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름다운재단 ‘기빙인덱스 2015’에 따르면 국내 기업의’매출액 대비 기부금 비율’은 2005년 0.13%에서 2014년 0.09%로 지속적으로 하락했다. 영업이익 대비 기부금 비율은 중견기업이 대기업을 앞지른 것으로 분석됐다. 상장기업 중 100위 이내 기업의 영업이익 대비 기부금 비율이 2011년 2.04%에서 2014년 1.95%로 감소한 반면, 101위 이상 기업은 2011년 1.75%에서 2014년 2.14%로 증가세를 보였기 때문. 이는 2023개 상장기업과 2만3138개 비상장기업의 기부금 항목을 분석한 결과다. 최혜지 서울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상장기업과 100위 이내 기업의 기부금은 매출액 및 영업이익의 영향을 받지만, 비상장기업과 101위 이상 기업은 상대적으로 독립적·탄력성을 보여주고 있다”고 설명했다.

미상_사진_기업사회공헌_분할_2015

◇기업 사회공헌 참여율 ‘V자형’… 자원봉사 참여율·전담 인력 감소

한국 기업의 사회공헌 참여율은 지난 10년간 ‘V자형’ 곡선을 그렸다. 매출액 2000위 기업 중에서 유형별(상장·비상장) 400곳을 표본 추출해 사회공헌 흐름을 분석한 ‘기빙인덱스 2015’에 따르면, 2004년 90.1%였던 사회공헌 참여율은 2008년 62.6%로 급락했다가 2014년 89.3%로 회복세를 보였다. 상장, 비상장 기업 간 격차가 줄어든 점도 눈에 띄는 변화였다. 2008년 상장·비상장 기업 간 사회공헌 참여율 격차는 15.3%에서 2014년 0.4%로 크게 줄었다. 한동우 강남대 사회복지대학원 교수는 “2008년 사회공헌 참여율이 저조한 것은 2008년 세계 금융 위기 영향으로 분석된다”면서 “상장·비상장 기업 간, 대기업과 중견·중소기업 간 사회공헌 격차가 줄어드는 것도 중요한 트렌드”라고 설명했다.

국내 기업들은 사회공헌 전담 조직을 축소하는 분위기다. 사회공헌 전담 조직과 인력을 배치했던 기업 비율이 2004년 18.5%에서 2014년 14%로 감소한 반면, 전담인력만 배치한 기업은 11%에서 20.7%로 10년새 배 가까이 늘었다. 기업 자원봉사도 최근 감소세를 보였다. 임직원 1인당 연간 자원봉사 참여 시간은 2006년 13.3%에서 2014년 11.7%로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기 때문. 한편, 사회공헌 평가 시스템이 없는 기업이 전체의 61%, 자체 평가 기준이 있는 기업은 25.5%에 불과해, 사회공헌 평가 체계 마련이란 숙제를 남겼다.

아름다운재단기빙인덱스2015_그래픽_기업사회공헌_기업사회공헌관련그래프_2015

◇기업-NPO 파트너십 증가… 소비자·임직원 의사 중시

비영리단체와의 파트너십을 통한 사회공헌도 지난 10년간 강화되는 추세다. 기업이 직접 사회공헌을 추진하는 비율이 46.9%로 가장 많았지만, 공익재단·모금조직 등 NPO와 함께 진행하는 비중이 2008년 23.6%에서 2014년 33.4%로 증가 폭이 가장 컸다. 또한 기업의 기정 기부금 비율이 2008년을 제외하고 법정기부금보다 모두 높게 나타났다. 특히 지정기부금이 전체 기업 기부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08년 31.3%에서 2014년 49.3%로 급증한 반면, 법정기부금은 37.2%에서 36%로 오히려 감소했기 때문. 법정기부금은 종합소득금액 범위 내에서 100% 공제되는 대신 국가나 지자체, 이재민 구호금품,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등 정해진 공익법인에 한해 기부가 가능하다. 반면 지정기부금은 사회복지법인, 문화예술단체, 환경보호운동단체, 종교단체 등 공익성을 감안하여 지정한 단체에 기부하는 것으로, 30% 공제받는다. 기업 사회공헌 영역이 사회복지·문화예술·재난구호·환경보호 등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면서 지정기부금 단체인 NPO와의 협력이 늘고 있는 것이다. NPO에 기부할 때 사업관리비용을 허용하는 비율은 특히 상장 100위 이내 기업(19.33%), 사회공헌 담당자가 있는 기업(15.51%)에서 높게 나타났다. 김현아 아름다운재단 나눔사업국장은 “NPO를 기부금 영수증을 끊어주는 단체가 아니라, 사회문제를 함께 발굴하고 사회공헌 프로젝트를 실행하는 파트너로 인식하는 기업이 늘고 있다는 방증”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사회적 압력과 임직원 합의가 사회공헌을 결정하는 주요인으로 떠오르고 있다. 여전히 ‘CEO의 의지’가 사회공헌을 결정하는 가장 큰 요인(76.5%)으로 나타났지만, 2008년(82.4%)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반면, ‘사원들의 합의’는 2004년 25.8%에서 2014년 53.2%로 10년 새 배 증가했고, ‘사회적 압력’은 6%에서 57.4%로 9배 가까이 늘었다.

◇국내 다국적기업 사회공헌 지출액 독일, 프랑스, 일본 순

아름다운재단기빙인덱스2015_그래픽_기업사회공헌_국내다국적기업사회공헌지출순위_2015

국내 다국적기업 중에서 사회공헌 총지출액이 가장 큰 국가는 독일(9억5000만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프랑스(4억9000만원), 일본(3억원), 미국(1억6900만원)이 뒤를 이었다. 이는 국내 다국적기업 169곳을 대상으로 2014년 사회공헌 실태를 분석한 ‘기빙인덱스 2015’ 조사에서 드러났다. 다국적기업들의 사회공헌 총지출액은 평균 약 2억4000만원으로 나타났고, 1000만~5000만원 사이가 30.8%로 가장 많았다. 업종별 분석에 따르면 유통업을 하는 기업의 사회공헌 지출금액이 7억1000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금융업(1억원)·운수업(9000만원) 순으로 조사됐다.

다국적기업은 사회공헌 활동을 할 때 대체로 해외 본사로부터 자율성을 갖는 것으로 분석됐다. ‘본사 가이드라인에 따른다’는 답변은 12.2%에 불과한 반면, 기업 사회공헌을 ‘지사 자체의 결정’으로 진행하는 곳이 28.6%, ‘지사 결정 후 본사보고’가 24.5%로 나타났기 때문. 사회공헌 결정 요인도 ‘지사 CEO 의지(40.2%)’와 ‘임직원 합의(31.7)’가 ‘본사 CEO 의지’보다 중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사회공헌 프로그램이 해외 본사와 ‘차이가 있다’는 답변도 57.1%로, ‘차이가 없다(26.5%)’의 2배 이상이었다. 재원의 독립성도 눈에 띄었다. 기업 사회공헌 활동 재원 중에서 본사가 할당하는 예산은 11.8%인 반면, 지사 자체 예산 비율은 41.2%로 월등히 높았다. 다만, 사회공헌 활동에 대한 보고 의무는 존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 사회공헌 활동을 ‘제출하지 않는다’는 답변은 18.4%에 불과한 반면, ‘반드시 제출’·’사안에 따라 다르다’는 답변은 각각 38.8%로 높게 나타났다.

국내 다국적기업은 비영리단체와의 협업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공헌을 할 때 비영리단체와 협업하는 기업이 41.7%로 가장 많았고, ‘자체사업’을 하는 곳은 18.8%에 불과했다. 자체 사회공헌 사업을 하다가 파트너십으로 전환한 경험이 있는 기업도 83.7%에 달했다. 조상미 이화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비영리조직의 역량 부족(31.3%)’을 사회공헌의 가장 큰 외적 장애요인으로 꼽은 것을 보면, 다국적기업과 NPO 간의 역량 강화와 질적 성장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분석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오는 10월 28일(수) 오후 1시 30분부터 4시 40분까지 서울 역삼역 ㈜한독 컨벤션홀에서 열리는 ‘제15회 기부문화심포지엄 기빙코리아 2015’에서 발표된다. 아름다운재단이 주최하고 조선일보 더나은미래가 미디어 협력 파트너로 참여하는 이번 기빙코리아 2015의 주제는 ‘한국 사회공헌, 10년의 변화’로, 사회공헌의 양적·질적 성장과 향후 방향성에 대한 논의가 이뤄질 예정이다. 문의 (02)-6930-4564

관련 기사

Copyrights ⓒ 더나은미래 & futurechosun.com

전체 댓글

제262호 창간 14주년 특집

지속가능한 공익 생태계와 함께 걸어온 14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