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 파괴를 야기한 자원 사용 초과분에 가장 많은 지분을 차지하는 국가는 미국으로 그 비중이 27%에 달했다. /랜셋 플래니터리 헬스
지구 환경파괴 책임, 美·EU가 절반 넘는다

화석연료, 산림자원 등 천연자원 사용에 따른 생태 환경파괴 책임의 절반이 이상이 미국과 영국을 포함한 유럽연합(EU)에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7일(현지 시각) 가디언은 바르셀로나자치대학교 환경과학기술연구소(ICTA-HUB)의 논문을 인용해 지난 50년간 환경파괴 책임 대부분이 미국과 유럽에 있다고 보도했다. ICTA-HUB는 1970년부터 2017년까지 전 세계 163개 국가의 천연자원 사용량을 분석한 연구 결과를 환경 학술지 ‘랜셋 플래니터리 헬스’에 게재했다. 연구진은 국가별로 생태 환경을 파괴하지 않을 정도의 자원 사용량을 설정하고 실제 사용한 자원 사용량으로 초과분을 계산해 책임 정도를 따졌다. 연구에 따르면 1970년부터 2017년까지 전 세계에서 사용된 천연자원은 약 2조5억t에 달한다. 이 중 1조1000억t은 생태 환경을 지속 가능하게 유지할 수 있는 사용량을 초과한 양이다. 자원 사용 초과분에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국가는 미국이었다. 초과분 1조1000억t 가운데 27%를 미국이 사용했다. 이어 영국을 포함한 EU가 초과분의 25%를 사용했다. 나머지 유럽 국가와 호주, 캐나다, 일본, 사우디아라비아 등 고소득 국가의 비중은 22%였다. 2001년부터 자원 사용량이 급증한 중국도 초과분 비중이 15%에 달했다. 연구진은 “지난 20년 동안 미국과 유럽의 초과분의 비중이 감소하는 추세지만 중국의 자원 사용 증가에 따른 것”이라며 “고소득 국가들의 초과분 절대량은 지속적으로 느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인도, 인도네시아, 파키스탄 등 58개국은 생태 환경을 유지가 가능한 자원만 사용하고 있었다. 국가별 1인당 초과 사용량을 따져봤을 땐 호주가 29.16t으로 가장 많았다. 캐나다 25.82t, 미국 23.4t으로 뒤이었다. 한국은 12.7t으로 조사대상 국가 가운데 10위에 해당했다. 연구를 주도한 제이슨

[글로벌 이슈] “강물이 마르고 숲이 파괴될수록…’젠더 폭력’ 증가한다”

IUCN, ‘젠더폭력과 환경의 연관성’ 연구 보고서 발표 ‘환경 파괴’가 성폭력·가정폭력·성매매 등 여성을 상대로 한 ‘젠더 폭력’을 부추기는 주요 원인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은 지난달 29일 ‘젠더 폭력과 환경의 연관성: 불평등의 폭력’ 보고서를 통해 “젠더 폭력은 성 불평등에 따라 나타나는 동시에 환경 파괴로 희소해진 자원을 독점하기 위해 기득권층이 활용하는 수단이기도 하다”며 “환경을 지키려는 활동과 양성 평등을 촉진하는 노력을 연계해야 젠더 폭력을 끝낼 수 있다”고 밝혔다. IUCN은 지난 2년간 1000건이 넘는 관련 자료를 분석하고 주민·활동가 등 300여 명을 설문조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번 보고서를 펴냈다. 보고서에 따르면 젠더 폭력은 ▲토지·숲· 식량·물·어류 등 자원의 통제 ▲불법 밀렵·벌목·채굴 등 인간의 환경 파괴 행위 ▲생태계· 자원 보존을 위한 활동에 대한 저항 등 크게 세 가지 차원에서 발생한다. 보고서는 여성들이 환경 파괴와 관련한 상황 속에서 어떻게 젠더 폭력에 노출되는지에 대한 실제 사례를 보여준다. 기후변화로 물 부족을 겪는 솔로몬제도의 18세 여성이 물을 긷기 위해 먼 길을 나섰다가 여섯 남성에게 성폭행을 당한 사건이 대표적이다. 인간이 천연자원을 착취해 환경 파괴를 가속하는 과정에서도 여성들은 희생됐다. 중앙아프리카공화국·콩고민주공화국 등 정치적으로 불안정한 아프리카 국가에서는 힘있는 무장 단체들이 광물 등 천연자원을 독점해 불법 채굴하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이곳 여성들은 주로 광산에서 일하는데, 경제적인 이유로 성폭력·폭행을 당해도 저항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에 따르면 콩고민주공화국 전체 여성의 12%가 성폭력을 경험했다. IUCN은 ▲젠더 폭력과 연계한 환경 보전 프로그램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