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관 협력해 사회문제 해결하는 ‘사회복지 4.0 시대’ 열린다”

[사회복지 4.0] 서상목 한국사회복지협의회 회장 “‘새싹보리’로 노숙인 문제를 해결하자.” 2018년 원주에서 시작된 기발한 프로젝트가 성과를 내고 있다. 가로 12m 세로 2.9m 컨테이너 2동을 항온기, 제습기, LED 광원 등을 갖춘 스마트팜으로 꾸민 뒤 지역 노숙인들에게 농작물 재배를 맡긴 ‘원주 도시농부 아카데미 하우스 프로젝트’다. 초보 농부로 변신한 노숙인들의 의욕은 대단하다. 수확한 새싹보리로 로컬푸드 인증을 받았고, 새싹보리를 분말로 가공하는 데 성공해 현재 유통 판매 허가를 기다리는 중이다. 고부가가치 농작물 판매를 통해 노숙인들의 자립을 돕는 게 프로젝트의 최종 목표다. 지난 4일 만난 서상목(73) 한국사회복지협의회 회장은 “사회복지 현장이 달라지고 있다”고 말했다. 시설에서 노약자를 돌보거나 취약 계층을 대상으로 구호 활동을 벌이는 수준을 넘어, 지역의 사회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프로젝트를 개발하고 수행하는 단계까지 왔다. 서 회장은 “정부와 기업, 주민이 협력해 공동체의 문제를 해결하는 혁신적인 사회복지 모델을 만들어가고 있다”면서 “원주 도시 농부 프로젝트가 대표적인 사례”라고 말했다. 사회복지 4.0 시대… 핵심은 ‘지역복지공동체’ ―원주 사례는 종전에 우리가 알던 ‘사회복지’와 형태가 많이 다른 것 같습니다. “사회복지가 시작된 게 18세기 중반입니다. 산업혁명으로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영국에서 빈곤 문제가 생겨났고, 기업가들이 자비를 털어 빈곤에 대한 연구를 시작했어요. 대부분 본인이 통제할 수 없는 이유로 가난해진 것을 알 수 있었죠. 늙어서, 아파서, 직업을 잃어서. 이런 사람들을 돕기 위해 자선 단체가 생겨났어요. 1860년대 영국에만 자선 단체가 수백 곳 설립됐는데 이 자선 단체들이 모여 COS(자선조직협회·Charity Organization Society)라는 연합회를

[이주의 공익뉴스브리핑] 서울시사회적경제지원센터, ‘윤리적 패션과 도시혁신의 만남’ 콜로키엄 개최(9/18) 외

서울시사회적경제지원센터, ‘윤리적 패션과 도시혁신의 만남’ 콜로키엄 개최(9/18) 서울시사회적경제지원센터는 오는 18일 서울혁신파크에서 제4회 콜로키엄 ‘윤리적 패션과 도시혁신의 만남’을 개최한다. 패션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해 논의하는 이번 행사에는 ▲패션산업의 지속가능성과 사회적 책임에 관한 활동 전문 비영리단체 ‘메이드–바이(MADE-BY)’의 재클린 베이터와 ▲패션산업으로 낙후도시를 활성화한 네덜란드 패션쿼터 아른헴 프로젝트의 다니엘 반더스가 연사로 나선다. 자세한 내용은 서울시사회적경제지원센터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서울새활용플라자, ‘시티파머 프로젝트 [도시농부X메이커]’ 참가자 모집(~9/20)  서울새활용플라자는 오는 20일까지 새활용플라자 텃밭에서 사용할 농사 도구를 만들어보는 ‘시티파머 프로젝트: [도시농부X메이커]’의 참가자를 모집한다. 서울새활용플라자 입주기업 또는 도시 농업에 관심 있는 일반 시민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모집 인원은 총 10팀(기업·단체·개인)이다. 선정된 팀엔 ㅍ레이저커터, 재봉틀, 3D프린터, 진공성형기 등 장비 사용 교육(9/27) ▲프로젝트 기간(10월 1일~11월 15일) 동안 서울새활용플라자의 ‘꿈꾸는공장’ 이용 프리패스가 제공된다. 자세한 신청 방법은 서울새활용플라자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서울혁신파크, 2018 식문화 문제해결 현장프로젝트 ‘지구를 살리는 밥상’ 참가자 모집(~9/27)  서울혁신파크는 오는 27일까지 식문화 문제 해결 프로젝트 ‘지구를 살리는 밥상’의 참가자를 모집한다. 지구를 살리는 지속 가능한 밥상을 만들기 위한 실천 방안을 발굴하는 것이 프로젝트의 목적이다. 지원 자격은 50인분 이상 식사를 준비할 수 있는 단체 또는 개인이다. 심사 기준은 ▲식재료 생산, 유통, 폐기 과정에서 얼마 만큼의 탄소가 배출되는가 ▲조리법이 한국 지역문화와 생태계의 지속 가능성을 고려했는가 ▲프로젝트 실행 시기인 11월에 어울리는 식사인가 등이다. 선정된 팀은 11월 1~16일 사이 서울혁신파크 맛동에서 짧은 강의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