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4월 25일(목)

무역협회 “니켈 공급망의 핵심 이슈는 ‘ESG 충족’ 여부”

이차전지의 필수 원료인 니켈을 안정적으로 확보하려면 ESG 기준에 부합하는 공급망을 구축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29일 발표한 ‘핵심 원자재의 글로벌 공급망 분석 : 니켈’ 보고서에서 “기업은 니켈 생산, 조달 전 과정에서 탄소배출량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고 했다. 최근 급증하는 배터리 수요에 대응할 수 있을 만큼의 니켈을 확보하기 위해선 ESG 기준을 고려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아프리카 마다가스카르의 암바토니 니켈 광산 개발 종합시설. /조선DB
아프리카 마다가스카르의 암바토니 니켈 광산 개발 종합시설. /조선DB

보고서에 따르면, 인도네시아는 자국산 니켈 원광 수출 금지 조치와 중국의 대규모 투자에 힘입어 지난해 전 세계 니켈 생산량의 37%를 차지했다. 특히 최근 추진되는 세계 니켈 개발 프로젝트의 대부분은 인도네시아에서 중국 자본에 의해 진행되고 있다. 중국과 인도네시아의 니켈 생산 점유율을 합칠 경우 그 비율은 65%에 달한다.

니켈은 삼원계 배터리의 소재가 되는 전구체 생산에 필수적인 원재료다. 전구체는 니켈·코발트 등 광물을 가공해 만드는 양극재(이차전지의 핵심 구성 요소로 배터리의 용량과 평균 전압을 결정)의 중간 원료다. 한국은 세계 양극재 생산의 20%가량을 담당하는데, 전구체의 경우 국내 수요의 79%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수입액 기준으로 중국산이 90%를 넘어 중국 의존도가 심각한 상황이다.

이에 더해 유럽연합(EU)이 2024년 7월부터 배터리의 탄소발자국 신고를 의무화하면서 니켈 공급망에 대한 통제가 강화될 예정이다. 니켈을 충분히 확보하기 어렵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는 이유다.

최근 배터리용 니켈 생산을 늘리기 위해 산화광으로 니켈 매트(니켈을 제련해 만든 중간생산물)를 생산하는 방법 등이 주목받고 있지만, 기존 공정보다 탄소배출량이 약 3~4배 많다는 문제가 있다. ▲수자원 고갈 ▲수질·토양오염 ▲삼림 파괴 ▲생태계 교란 ▲폐기물 발생 등 다양한 환경 문제를 유발하기도 한다.

올해 인도네시아 내 HPAL(High Pressure Acid Leach·고압침출법) 프로젝트에서 총 7만t의 니켈이 생산될 예정인데 이 과정에서 약 1400만t의 폐기물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에 무역협회는 “니켈 산업 생태계 전반의 체질 개선이 필요하다”며 “기업은 원료, 소재별로 탄소배출량을 추적·관리하는 시스템을 마련해 순환형 공급망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탄소배출량이 많은 국가와 기업과의 거래를 축소하는 등 ESG 기준에 부합하는 니켈 확보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무역협회는 한국 정부가 나아가야 할 방향도 제안했다. 정부 차원에서 기업의 친환경 경쟁력 확보를 지원하기 위해 재생에너지 공급 확대, 재활용·재사용 산업 활성화 등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는 것이다.

EU의 경우 2024년부터 역내에서 판매되는 배터리의 탄소발자국 신고 의무화를 추진하고 향후 단계적으로 윤리적 원자재 수급, 재활용 원자재 사용비중 등 ESG 기준에 부합하는 제품만 EU 역내 유통을 허가할 계획이다.

조상현 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장은 “이제는 핵심 원소의 확보가 국가 경쟁력을 좌우하는 시대”라며 “특히 니켈은 배터리·철강 등 우리나라의 주력산업과 직결돼 있어 안정적인 공급망 관리가 필수”라고 말했다. 이어 “최근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고 수급 불안이 지속하는 관계로 민·관은 힘을 합쳐 장기적인 자원확보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수연 더나은미래 기자 yeon@chosun.com

관련 기사

Copyrights ⓒ 더나은미래 & futurechosun.com

전체 댓글

제261호 2024.3.19.

저출생은 '우리 아이가 행복하지 않다'는 마지막 경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