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4월 19일(금)

[진실의 방] 소셜 임팩트 기업?

김시원 더나은미래 편집장

인터넷 검색을 하다 못 보던 용어를 발견했다. 소셜 임팩트 기업? 처음 보는 말인데 어딘지 익숙하다. 더 검색해봤다. 김동연 전 경제부총리가 “소셜 임팩트 기업 들을 모아 포럼을 만들겠다”는 선언을 한 모양이었다. 지난달 21일 서울 명동에서 ‘소셜 임팩트 포럼’ 창립식도 가졌다고 했다.

소셜 임팩트 기업. 직역하면 ‘사회적(social) 임팩트(impact)를 창출하는 기업’ 정도가 될 것 같다. 경제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를 동시에 추구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가진 기업이라는 의미일 것이다. 이런 기업을 가리키는 용어로 이미 ‘사회적기업’과 ‘소셜벤처’가 있다. 해외에서는 둘 다 ‘소셜 엔터프라이즈(Social Enterprise)’로 부르지만 우리나라에서는 구분해서 쓴다. 정부의 인증을 받은 곳은 사회적기업, 인증을 받지 않은 곳은 소셜벤처라고 부른다. 제도상의 이런 구분 때문에 기사를 쓸 때 설명이 길어지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비슷한 용어가 또 생겼다.

정확한 의미를 알고 싶었다. 알아야 기사를 쓰든 뭘 하든 할 게 아닌가. 업계 전문가들에게 소셜 임팩트 기업에 대해 물었더니 “뭔지 잘 모르겠다”는 반응이었다. 다행히 김 전 부총리가 어느 인터뷰에서 직접 뜻을 설명해 놓은 게 있었다. “소셜 임팩트 기업은 사회적기업보다 차원이 높다. 정부 지원을 받아 장애인을 돕는게 사회적기업이라면, 소셜 임팩트 기업은 경제활동을 잘하면서 사회적 가치도 추구하는 기업이다.”

사회적기업이 들으면 좀 섭섭할 소리였다. 자활기업에서 출발한 사회적기업들 가운데 비즈니스가 약한 곳이 많은 건 사실이지만 ‘차원이 낮다’고 단정적으로 말하기는 어렵다. 비즈니스가 약한 기업일수록 오히려 더 큰 사회적 가치를 만들어 내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사회적기업들 중에 경제활동을 잘하는 곳도 많다. 포럼 창립식 당일, 김 전 부총리는 폐차 가죽 시트로 만든 업사이클링 가방을 메고 행사장에 등장해 좌중의 눈길을 끌었다. 그 가방을 만든 회사가 ’모어댄’. 요즘 제일 잘나가는 사회적기업이다.

용어 자체를 탓하는 게 아니다. 새로운 일을 도모할 때 이전에 없던 용어를 만들어 선포하는 건 매우 중요한 작업이다. 꿈을 펼치기 위해서는 그 꿈을 가장 잘 표현해주는 언어가 필요한 법이니까. 영향력 있는 사람들이 소셜섹터를 위해 나서 주고 힘을 실어준다는 건 고마운 일이지만, 좋은 취지에 비해 설명이 부실하다는 느낌이다. “소셜 임팩트 기업이란 기존에 구분해 사용하던 사회적기업과 소셜벤처를 아우르는 말로, 임팩트를 창출하는 모든 기업을 가리킨다.” 차라리 이런 설명이라면 납득이 갔을 텐데.

김시원 더나은미래 편집장 blindletter@chosun.com

관련 기사

Copyrights ⓒ 더나은미래 & futurechosun.com

전체 댓글

제261호 2024.3.19.

저출생은 '우리 아이가 행복하지 않다'는 마지막 경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