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2월 4일(수)

환경단체, ‘두산중공업에 1조 지원’ 산은·수은 규탄… “탈석탄 전제해야”

장마리 그린피스 캠페이너가 1일 오전 산업은행 본사 앞에서 구제금융 제공 조건으로 탈석탄/탈원전을 내걸 것을 요구하는 피켓을 들고 있다. ⓒ그린피스

환경 문제를 유발할 뿐 아니라 경제성도 떨어지는 석탄 화력발전 사업을 고수하는 두산중공업에 국민 혈세를 제공한 KDB산업은행과 한국수출입은행을 강력히 규탄한다.”

환경단체들이 심각한 경영위기에 빠진 두산중공업에 1조원 규모 긴급 대출을 제공한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을 강력하게 비판하고 나섰다. 그린피스, 기후솔루션, 경남·당진·사천·충남환경운동연합 등 6개 환경단체는 1일 오전 10시 서울 여의도에 있는 산업은행 본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전 세계적인 탈()석탄 흐름을 읽지 못해 위기를 자초한 두산중공업에 거액의 대출을 제공한 것은 두 국책금융기관의 무능함을 보여주는 증거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은 지난달 27일 두산중공업에 1조원 규모의 대출을 제공하기로 결정했다. 사실상의 구제금융으로 자금은 두 은행이 절반씩 부담한다. 두산중공업은 이 돈으로 급한 불부터 끌 것으로 알려졌다. 4월 말과 5월 초 만기 되는 총 6000억원 규모의 외화채권을 상환하는 용도로 쓰겠다는 게 두산중공업의 공식 입장이다. 두 은행은 “코로나 19의 세계적인 확산으로 인한 초유의 자금경색 상황에서 국가기간산업인 발전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내린 조처라며 “두산중공업이 흔들릴 경우 초래될 수 있는 대규모 실업, 지역경제 타격, 관련 기업의 연쇄부실 우려 등을 고려했다고 밝혔다. 현재 두산중공업의 별도기준 차입금은 4 9000억원에 달한다. 수익성도 크게 악화돼 장기적 전망도 밝지 않은 상황이다. 지난해 별도기준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52.5% 줄어든 877억원에 그쳤고 당기 순손실은 4952억원에 달한다.

1일 오전 서울 여의도 산업은행 본사 앞에서 그린피스, 기후솔루션, 경남·당진·사천·충남환경운동연합 등 6개 환경단체 회원들이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의 두산중공업에 대한 구제금융 제공을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그린피스

환경단체들은 두산중공업이 진행하는 사업의 70%를 차지하는 석탄발전소 수주 및 운영이 수익성이 떨어지는 사업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장마리 그린피스 캠페이너는 지난 2018년 국제에너지기구(IEA) 발표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전 세계적으로 석탄화력발전소에 대한 투자가 80% 이상 감소했다면서재생에너지발전소 설립·운영 비용이 석탄화력발전소 설립·운영 비용보다 낮아지면서 석탄화력발전을 고수할 이유가 없어졌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모건스탠리, 골드만삭스, 블랙록 등 세계 주요 투자기관들이 이미 석탄화력발전에 대한 투자를 공식 철회한 것으로 알려졌다.

환경단체들은 대출 결정의 절차적 적법성을 따져보겠다는 입장이다. 김주진 기후솔루션 대표(변호사)는 “두 은행이 대출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국민 혈세를 지키기 위한 법적 절차를 준수했는지 검토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김 대표는 두산중공업이 대출 신청 과정에서 담보로 내놓은 주식의 가치나 석탄발전 사업으로 인한 수익성 등을 꼼꼼히 따져봤다면 대출 결정을 내리기 어려웠을 것이라며 두 은행의 자금원은 국민 혈세이므로 이 돈이 공중에 흩어지지 않게 잘 사용하는 것이 이들의 의무인데 이에 소홀함이 있었는지 살피겠다는 뜻이라고 밝혔다.

두산중공업 측은 복수의 언론을 통해 “지금의 경영위기는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수주가 급감해서 생긴 문제라며 “이번 대출로 재무구조를 개선하고 수주를 따내 빠른 시일 내 자금을 상환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두산중공업의 사업 중 원전사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15%에 불과하며, 국내 원전사업으로 인한 매출은 2016 6559억원에서 지난해 8922억원으로 오히려 늘었다. 그린피스 측은 문제는 원전이 아니라 석탄발전이며, 석탄 산업을 포기하지 않으면 기업 정상화도 불가능할 것이라며 두 은행이 두산중공업에 대한 추가 지원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는데, 구제금융 제공을 철회하기 어렵다면 석탄화력발전 사업 정리를 추가 지원의 조건으로 내걸어야 한다고 밝혔다.

 

[박선하 더나은미래 기자 sona@chosun.com]

– Copyrights ⓒ 더나은미래 & futurechosun.com,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Copyrights ⓒ 더나은미래 & futurechosun.com

전체 댓글

제262호 창간 14주년 특집

지속가능한 공익 생태계와 함께 걸어온 14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