쉼터서 밀려나는 청소년 성소수자… 사단법인 띵동, 국내 첫 전용쉼터 마련

청소년 성소수자 47% “쉼터 입소 거부 당해”띵동, 브라이언임팩트 지원으로 전용쉼터 마련 김은하(가명)씨는 스무살 되던 해에 집을 나왔다. 성(性)소수자라는 사실을 밝힌 후 불거진 가족과의 갈등과 가정폭력 탓이다. 한동안 친구 집에 머물렀지만 오래 있을 수는 없었다. 몇 개월 후 지역의 청소년 쉼터를 찾았다. 대부분 쉼터는 남녀 공간을 분리해 운영한다. 트랜스젠더인 김씨는 생물학적으로 남성이라 여성 공간에 머물 수 없었다. 그렇다고 남성 청소년과 같은 공간에서 생활하면 본인이 괴로울 것 같았다. 결국 입소한 날 아르바이트 자리와 고시텔을 구해 다음 날 퇴소했다. 청소년 성소수자들은 위기청소년을 돕는 지원 체계 안에서 소외된다. 최근에는 청소년 성소수자 차별 금지 조항을 담은 학생인권조례 폐지 움직임이 거세지면서, 학교에서도 설 자리를 잃을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청소년 성소수자 지원센터 띵동(이하 띵동)은 이들의 긴급주거지원을 위한 ‘야간센터 숨숨’을 오는 25일부터 운영한다. 전국 최초의 청소년 성소수자 쉼터다. 인력부족으로 낮에만 열던 센터를 주 2회 24시간 운영할 예정이다. 센터에서는 휴식과 상담, 식사 등을 제공한다. 장기간 안정적으로 생활할 수 있는 시설로 연계해주거나, 의료 지원도 한다. 성폭행 피해자는 전문 기관에서 치료를 받으며 트라우마를 회복할 수 있도록 돕는다. 띵동은 청소년 성소수자를 이들을 돕는 국내 유일 NGO다. 2015년 설립된 이후 민간의 후원만으로 운영되고 있다. 청소년 성소수자 언제든 머물 수 있는 센터를 운영하고 상담을 제공하는 등 다양한 지원 활동을 펼친다. 지난해에는 브라이언임팩트가 사회문제를 해결할 혁신조직을 대규모로 지원하는 사업 ‘임팩트그라운드’ 2기로 선정됐다. 총

[공변이 사는 法] “가족마저 등 돌린 ‘성 소수 청소년’의 든든한 ‘백’ 될래요”

[공변이 사는 法] 송지은 변호사 작년 방문·전화 상담 400건메신저 대화 셀 수 없이 많아사회에선 혐오에 내몰리고쉼터 입소마저 거부당하기도 마음 상처 다독이는 게 우선청소년 제도 개정 힘 쏟을 것 약속 장소는 평범한 건물 앞이었다. 인터뷰이에게 전화를 걸어 어딘지 묻자 골목 안 사무실 주소를 알려줬다. 주소는 비공개. 간판도 없었다. 예약해야 방문할 수 있는 공간. 국내 유일의 청소년 성 소수자 위기 지원센터 ‘띵동’이다. 지난 17일 이곳에서 만난 송지은(33) 변호사는 청소년들의 법률 조력자이자 상담 지원팀장이다. 그는 “띵동은 청소년 성 소수자의 쉼터 역할을 하는 공간”이라며 “방문자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 주소를 공개하지 않는다”고 했다. 띵동의 문을 두드리는 청소년은 끊이지 않는다. 지난해에만 400건 넘는 방문·전화 상담이 이뤄졌다. 온라인 메신저로 주고받는 상담 건수는 셀 수 없을 정도다. “가정 폭력이 생각보다 많아요. 부모가 자녀의 성 정체성을 받아들이지 못하면서 주로 발생해요. 대부분의 부모는 ‘네가 잘 몰라서 그런다’ ‘병원에 가보자’고 해요. 휴대전화를 빼앗거나 외출을 금지하기도 하죠. 폭언과 폭력에 시달리는 아이도 많아요. 학교나 사회에서 겪는 차별과 혐오도 견디기 어려운데, 믿고 사랑하는 가족마저 등을 돌리니 고통이 더 크죠.” 문제는 법적 대응이 필요할 정도로 심각한 피해를 당해도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송 변호사는 “성 소수자라는 이유로 부모에게 폭행당해도 주변에 알리거나 경찰에 신고하려는 학생은 없다”며 “대부분 자기 자신을 탓하고 가족과 겪는 갈등을 털고 싶어 하기 때문에 참고 견딘다”고 했다. 사회적 냉대나 부모의 강압을 이겨내지 못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