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과 사회의 공존법 <9> 유한킴벌리 [인터뷰] 전양숙 유한킴벌리 지속가능경영센터장 지난 17일, 몽골 수도 울란바토르에서 북쪽으로 350㎞ 떨어진 셀렝게 주 토진나르스. 끝없이 펼쳐진 초원 위로 소나무들이 일렬로 자리를 잡고 있었다. 높이 2~3m의 나무들이 빽빽이 들어선 가운데, 10m를 넘는 키 큰 나무 몇 그루가 위풍당당하게 서 있었다. 가지는 꼭대기에만 남아 있었고, 줄기에는 불에 그을린 흔적이 선명했다. 2000년대 초, 이 일대는 대형 산불로 황폐화됐다. 당시 토진나르스 숲은 몽골 전체 소나무 숲의 16.2%를 차지할 만큼 핵심 생태지역이었다. 사막화 우려가 커지자 몽골 정부는 국제사회에 도움을 요청했고, 한국의 유한킴벌리가 응답했다. 2003년부터 동북아산림포럼(현재 평화의 숲)과 숲 조성에 나선 유한킴벌리는 지금까지 1100만 그루의 나무를 심었다. 조림 면적은 3250헥타르. 여의도의 11배, 서울 송파구 크기다. ◇ “없어진 숲을 되살려줘서 고맙습니다” ‘우리강산 푸르게 푸르게’ 캠페인으로 잘 알려진 유한킴벌리. 이 기업이 몽골에 심은 나무는, 사실 한국의 하늘을 위한 것이기도 했다. 2002년 당시 국내 연평균 미세먼지 오염도는 61㎍, 사상 최고치였다. 몽골에서 불어오는 황사가 뿌연 하늘을 덮자, 사막화 방지는 한국에도 시급한 과제가 됐다. 초목이 살아나면서 모래바람이 줄었고, 숲은 생태계를 되살렸다. 할미꽃 같은 들풀이 다시 피었고, 노루와 사슴도 돌아왔다. 주민들도 변했다. 이젠 숲 속에서 결혼사진을 찍고, 가족 나들이를 즐긴다. 지난 17일 돗자리를 펴고 소풍을 즐기던 가족이 기자의 눈에 들어왔다. 유한킴벌리는 단지 나무만 심은 것이 아니다. 조림지 주변에는 양과 염소 떼가 드나들며 묘목을 짓밟기 일쑤였다. 초반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