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아시아 임팩트 나이츠<8> [현장] 임팩트 IPO가 마주한 과제 우리의 임팩트 투자는 지향점을 향해 제대로 가고 있는가. 지난 10월 16일부터 18일까지 제주에서 열린 ‘2024 아시아 임팩트 나이츠’에서 아시아를 이끄는 임팩트 투자자들이 한 곳에 모여 토론하고 성찰하게 한 핵심 질문입니다. 디쓰리쥬빌리파트너스가 2016년부터 개최한 ‘아시아 임팩트 나이츠’는 임팩트 투자 기관, 자산가, 패밀리 오피스, 재단, 금융기관 등 투자자뿐만 아니라 기업가도 함께 모여 임팩트 투자의 글로벌 트렌드를 짚고, 향후 전망을 토론하는 대표적인 임팩트 투자 포럼입니다. 미디어 파트너로 협력한 ‘더나은미래’는 이번 포럼에 참여한 주요 연사 인터뷰를 비롯해 현장의 핵심 장면을 기사로 연재합니다. /편집자 주 IPO(기업공개)는 흔히 ‘창업의 꽃’이라 불린다. 그렇다면 임팩트 기반 스타트업이 IPO를 통해 더 넓은 시장에 진출하는 것은 어떤 의미를 가질까. 자산관리기업, 벤처투자사, 그리고 IPO 경험이 있는 임팩트 스타트업 대표들은 “의미는 크지만 여전히 도전 과제가 많다”고 입을 모은다. 지난달 제주에서 열린 ‘2024 아시아 임팩트 나이츠’ 행사에서는 이 주제를 놓고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일본의 카디라 캐피탈(Cadira Capital) 공동 창립자 겸 대표인 사카모토 카즈타(Kazuta Sakamoto), 신희진 교보증권 벤처캐피털 및 디지털자산 신사업개발본부장, 김구환 그리드위즈 대표, 후미 스게노(Fumi Sugeno) 일본 사회혁신투자재단(이하 SIIF) 임팩트 경제연구실장이 참석해 심도 있는 논의를 펼쳤다. 이날 사회는 문건호 디쓰리쥬빌리파트너스 심사역이 맡아 임팩트 IPO의 가능성과 현실적인 도전 과제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문건호=시장에서는 ‘임팩트 투자’와 ‘ESG 투자’를 혼동하는 경우가 많다. 두 개념이 무엇이 다른가. 후미 스게노=‘임팩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