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회적경제 조직에 특화된 금융인 ‘사회적금융’을 전국적으로 확산시키려는 움직임이 시작됐다. 재단법인 한국사회가치연대기금(이하 연대기금)은 지난 6일 대전 컨벤션센터에서 ‘사회적금융 중개기관 활성화 방안’ 포럼을 열고 “지역 기반 사회적금융 중개기관 설립과 사모펀드 조성을 추진하고 있다”며 “연말까지 중개기관 간 협력 네트워크도 만들 계획”이라고 밝혔다. 연대기금은 사회적금융 활성화를 위해 만들어진 국내 최초 민관협력 도매금융 기관이다. 올해 1월 출범 당시 연대기금 측은 “향후 5년간 3000억원 규모 자금을 조성해 사회적경제 기업들에게 금융의 물꼬를 트겠다”고 밝힌 바 있다. 취약계층 고용이나 이윤의 사회 환원 등으로 일반 기업보다 금융 투자나 융자 확보에 쉽지 않았던 사회적경제 조직 입장에서는 환영할 일이다. 연대기금의 중개기관 육성은 비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추진된다. 사회적기업과 협동조합 등 사회적경제 조직의 56%(2016년 사회적기업 및 협동조합 실태조사 기준)가 비수도권에 있는데도 사회적경제 투·융자 기관 대부분이 수도권에 위치한 데서 오는 지역적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다. 남원호 한국사회가치연대기금 중개기관육성팀장은 “중개기관 설립을 희망하는 지역에서 먼저 일정 금액 자조 기금을 만든 후 연대기금에 의지를 표명하면 된다”며 “실제 설립 단계에 들어서면 행정·법률 지원부터 다양한 사회적경제 전문가와 연결해 지역 사회적금융 거점 기관으로 키워낼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각 지역에 중개기관을 만든 후 연말까지 중개기관 간 협력 네트워크인 ‘한국 사회적금융 연대포럼’(가칭)을 만들어 민간을 대표하는 사회적금융 협의체로 키워낸다는 계획이다. 남 팀장은 “중개기관은 단순히 만들어진 펀드만 운영하는 것이 아니라 지역에 필요한 금융 프로그램을 정부에 제안하는 역할도 하게 될 것”이라며 “중개기관의 제안이 다시 정책에 반영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