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리어프리영화, 스크린 뒤에선 어떤 일이 벌어질까?”…‘모두의 영화’가 만들어지기까지

영화인 10여 명이 한데 모인다. 이들은 2시간짜리 영화를 3개월에 걸쳐 만든다. 제작팀 구성은 여느 영화와 조금 다르다. 연출감독 자리에는 제작PD가 앉았고, 대본 작업은 화면해설작가가 맡았다. 배우는 없고 대신 성우가 있다. 제작 막바지에 모니터요원이 따로 투입되는 점도 특이하다. 이 특별한 제작팀의 손을 거쳐 완성되는 영화를 ‘배리어프리(barrier free)영화’라고 부른다. 배리어프리영화는 시청각 장애인들이 영화를 ‘제대로’ 감상할 수 있게 화면해설 음성이나 자막을 넣어 누구나 즐길 수 있게 한 작품을 말한다. 이들 덕에 시각장애인은 영화를 듣고, 청각장애인은 영화를 읽는다. 영화에 장벽 없애는 데 걸리는 시간 ‘3개월’ 배리어프리영화위원회에 따르면, 시청각 장애인을 위한 영화 제작 과정은 크게 ▲작품선정 ▲화면해설 ▲녹음·믹싱 ▲자막작업 ▲최종검수 등 다섯 단계를 거친다. 제작 기간 평균 3개월. 비용은 1000만~2000만 원 이상이 투입된다. 배리어프리영화 제작PD는 전 과정을 조율하고 이끄는 역할을 한다. 첫 단계는 작품선정이다. 배리어프리영화는 다양한 연령층이 모두 볼 수 있는 12세 관람가를 위주로 고른다. 더 많은 시청각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영화를 즐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위원회에서는 완성된 배리어프리영화를 원하는 장소에서 틀어주는 ‘공동체 상영’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데, 지금까지 제작한 55편 가운데 42편을 공동체 상영으로 볼 수 있다. 작품이 선정되고 나면, 화면해설 대본 작업에 들어간다. 이 단계에서는 원작 영화감독이 투입되는 경우가 많다. 제작PD는 감독의 의도가 훼손되지 않도록 중간에서 조율하는 역할을 한다. 화면해설에서 가장 조심해야 할 부분은 ‘선해설’이다. 이세종(40) 제작PD는 “선해설이란 영화의 특정 장면이 화면으로 나오기 전에

제262호 창간 14주년 특집

지속가능한 공익 생태계와 함께 걸어온 14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