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커뮤니케이션 임직원 모금운동 벌여 지은 ‘지구촌희망학교’ 다녀와 K팝 댄스·체육대회 등 다채로운 추억 선물 “학교가 가까이 있다는 게 믿기지 않아요.” 타지키스탄 파흐타코르 마을의 ‘지구촌희망학교’에서 만난 파르쉬보노(13·여)양이 까만 눈을 찡긋하며 말했다. 1년 전만 해도 왕복 2시간을 걸어서 학교에 다녀야만 했다. 올해 초, 수도 두샨베에서 30분 정도 떨어진 도시 빈민가 파흐타코르 마을의 숙원사업이 해결됐다. 다음커뮤니케이션(이하 다음)과 굿네이버스가 함께 ‘지구촌희망학교’를 만들면서다. 건립비, 학교 운영에 필요한 지원금은 다음의 사내 카페테리아 및 바자회 행사 수익 등 임직원들의 자체적인 모금으로 마련했다. 지난달 28일부터 10월 5일까지 ‘설레는 휴가’팀으로 선발된 다음 직원 12명은 7박 8일간 휴가를 반납하고 타지키스탄 ‘지구촌희망학교’로 봉사활동을 떠났다. 꼬박 24시간이 걸렸다. 베이징, 우루무치를 거쳐 두샨베까지 비행기를 3번 갈아탔다. 타지키스탄은 비자 외에 초청장을 받아야만 방문이 가능하다. 새벽 2시까지 입국 수속을 밟느라 파김치가 됐다. 봉사단 이혜리(31)씨는 지친 비행 일정에도 “아이들을 만날 생각에 설렌다”며 웃었다. 아이 600명에게 나눠 줄 티셔츠, 각종 문화체험 프로그램에 사용될 물품이 담긴 짐박스 27개를 나르는 것도 봉사단의 몫이었다. 3일간의 추억을 선물하기 위해 3개월이란 시간이 걸렸다. ‘설레는 휴가’팀은 일주일에 두 번씩 온라인 화상회의, 오프라인 미팅 등을 통해 프로그램을 직접 기획했다. 한아람(31)씨는 “일방적으로 베푸는 입장이 아닌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추는 것에 주력했다”고 했다. 봉사단이 방문한 3일 동안 파흐타코르의 학교가 들썩거렸다. 학교 밖은 댄스교실에서 배운 크레용팝의 “빠빠빠” 노래가 울려 퍼졌고, 교실에선 아이들이 직접 만든 3D 안경을 쓰고 영화관람에 집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