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굿쉐어링’ 직원 오가나·어뜨남씨 몽골 울란바토르시 외곽에 위치한 성근하이르항. 이곳은 시내에서 인구 밀집도가 가장 높다. 한파에 가축을 잃고 도심으로 몰려든 유목민이 많아서다. 이들은 천막으로 된 몽골 전통 가옥 게르를 짓고 산다. 일자리가 없어 실업률도 높다. 이 지역에 지난 2010년 굿네이버스는 사회적 기업 ‘굿쉐어링(Good Sharing)’을 세웠다. 직원은 총 8명. 굿쉐어링이 현지 지역 주민에게 주는 ‘일자리’는 상상 이상의 의미였다. 굿쉐어링 공장에서 만난 오가나(31)씨는 “매달 41만투그릭(40만원 남짓)씩 월급을 받는데, 2년 동안 매달 5만~10만투그릭씩 저축한 돈에 사장님께 일부 빌린 돈을 합쳐 올해 내 땅을 샀다”며 “앞으로 더 열심히 일해 방 두 개짜리 벽돌집을 짓고 싶다”고 말했다. 41만투그릭은 몽골 중소기업 수준이라고 한다. 그의 고향은 시내에서 차로 8시간 걸리는 시골 마을 우르항가이. 그는 부모님과 함께 염소 250마리, 양 200마리, 소 40마리, 말 45마리를 키웠던 부유한 유목민이었다. 하지만 2000년대 초반의 혹독한 겨울 날씨에 먹을 게 없던 가축이 대부분 죽었다. 도시로 나온 그가 선택한 곳은 금광 채굴 광산. “끈을 타고 지하 17m로 내려가 금가루가 담긴 흙을 자루에 담아 위로 올려 보내는 일이었어요. 하루에 3~5명 정도가 죽었어요. 금을 찾기가 점점 어렵고, 주변에 다치거나 죽는 사람이 많아 시내로 다시 돌아왔죠.” 아이들은 시골 친척집에 맡겨놓은 채 아내와 함께 가구 공장에서 일했다고 한다. 아침 8시부터 저녁 8시까지 12시간 일해 받는 월급은 25만투그릭. 주말 근무는 기본이요, 때때로 밤을 꼬박 새워 일했지만 생활비 대기도 벅찼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