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는 비용 아닌 동력”…슈나이더 일렉트릭 의장이 밝힌 성장 비결

타임지 선정 ‘세계 가장 지속가능한 기업’ 1위 지속가능성을 전략·보상 체계에 내재화 “성과와 지속가능성은 대립이 아니라 상호 보완적 관계입니다.” 장-파스칼 트리쿠아르(Jean-Pascal Tricoire) 슈나이더 일렉트릭(Schneider Electric) 이사회 의장은 19일 유엔글로벌콤팩트(UNGC) 한국협회가 주최한 ‘ESG 거버넌스 리더십 조찬 간담회’에서 이같이 강조했다. 그는 2006년부터 2023년까지 최고경영자(CEO)를 맡으며 회사를 디지털·전기화 중심의 글로벌 기술기업으로 탈바꿈시킨 주역으로, 이날 발언은 슈나이더가 2005년 ‘지속가능성 바로미터’를 도입한 이후 약 20년간 축적해온 전략을 증언처럼 풀어낸 것이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프랑스에 본사를 둔 에너지 관리·자동화·디지털화 전문 글로벌 기업이다. 스마트 인프라, 친환경 빌딩, 데이터센터, 산업 자동화 솔루션을 제공하며, ‘라이프 이즈 온(Life Is On)’이라는 철학 아래 에너지와 자원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면서 지속가능성을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전 세계 100여 개국에서 16만 명 이상이 근무하며, 2024년 매출은 약 381억 유로(한화 약 61조 8200억 원)에 달했다. ◇ 경영 전략에 통합하고, 인센티브와 연동까지 트리쿠아르 의장은 기후위기의 핵심이 ‘에너지’에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앞으로 2050년까지 전력 접근성이 없는 10억 명과 불안정한 상태의 20억 명을 포함해 총 50억 명에게 안정적 에너지 공급을 보장하는 동시에, 에너지 시스템의 탄소중립 전환을 달성해야 한다”며 “진보의 출발점은 에너지 접근이며 이는 인권”이라고 말했다. 슈나이더는 지속가능성을 별도의 부속 개념이 아닌 ‘경영 전략 그 자체’로 통합했다. 핵심 해법은 ▲디지털화(스마트빌딩·스마트시티·스마트팩토리 등 효율성 강화) ▲전기화(저탄소 전력원 확대)다. 그 결과 타임(Time)지와 데이터 기업 스타티스타(Statista)가 선정한 2025년 ‘세계에서 가장 지속가능한 기업’ 1위에 올랐고, 코퍼레이트 나이츠(Corporate

국내외 기업 임원 50여 명 한자리에…‘ESG 거버넌스 리더십’ 논의

UNGC 한국협회, ‘ESG 거버넌스 리더십 조찬간담회’ 개최 유엔글로벌콤팩트(UNGC) 한국협회는 19일 서울 더플라자 호텔에서 ‘ESG 거버넌스 리더십 조찬간담회’를 열었다. 이번 간담회는 국내 기업이 급격한 글로벌 환경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ESG를 이사회와 경영 전략에 내재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현장에는 국내 주요 기업·기관 임원과 사외이사 등 50여 명이 참석했다. 행사는 유연철 UNGC 한국협회 사무총장의 환영사로 시작됐다. 이어 장-파스칼(Jean-Pascal Tricoire) 트리쿠아 슈나이더 일렉트릭 이사회 의장이 ‘지속가능성과 혁신을 위한 리더십’을 주제로 ESG를 경영 전반에 통합한 사례를 영상을 통해 경험을 공유했다. 그는 “지속가능성과 혁신은 상충하는 개념이 아니라 서로를 강화하는 동력”이라고 강조했다. 가브리엘라 오캄포(Gabriella Ocampo) UNGC 본부 변혁적 거버넌스 담당관은 ‘변혁적 거버넌스(Transformational Governance)’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그는 사회·환경 리스크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경영 방식의 근본적 변화가 필수라며, ▲지속가능목표(SDGs) 점검 ▲이사회 전문성 다양화 ▲이해관계자 참여 확대 등 실천 과제를 제시했다. 패널 토론은 이은경 UNGC 한국협회 실장이 좌장을 맡아 진행했다. 박선현 서울대 경영대학 교수, 정재규 한국ESG기준원 센터장, 김한석 한국딜로이트그룹 센터장이 참여해 ▲조직 문화 변화 ▲데이터 기반 성과 측정 ▲AI·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실행력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박선현 서울대 경영대학 교수는 “ESG를 단순한 규제나 유행으로 볼 것이 아니라 기업이 직면한 변화의 일부로 이해해야 한다”며 “경영진이 확신을 가지고 추진할 때 비로소 전략적 성과와 문화 혁신으로 이어진다”고 말했다. 정재규 한국ESG기준원 센터장은 “ESG 정보 공개는 규제와 무관하게 투자자와 평가 기관이 기업 신뢰도를 판단하는 핵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