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3일 만난 이범재 유니버설하우징협동조합 대표는 "유니버설디자인을 흔히 '모두를 위한 디자인'이라고 말하지만, 이 말을 뒤집으면 '모두가 조금씩 불편을 나누는 디자인'과 같다"고 말했다. /이건송 C영상미디어 기자
모두가 불편을 나누는 디자인… ‘유니버설 공동주택’ 확산을 꿈꾸다

[인터뷰] 이범재 유니버설하우징협동조합 대표 “주거 취약계층은 아파트보다 빌라, 다세대, 연립주택에 살 가능성이 커요. 문제는 장애인이나 고령자입니다. 이분들은 집안에 있는 낮은 문턱도 굉장히 불편하게 느껴요. 가장 편하게 지내야 할 주거 공간에 유니버설디자인을 적용하는 게 목표입니다.” 지난달 23일 서울 당산동 사무실에서 만난 이범재(61) 유니버설하우징협동조합 대표는 “모두가 편한 사회를 꿈꿔볼 수도 있지만, 현실적으로는 모두가 불편을 나누는 사회가 더 실현 가능하고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유니버설디자인(Universal Design·UD)이란 나이·성별·장애 등에 제약 없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설계를 뜻한다. 그의 바람은 지난 2016년 협동조합을 꾸리면서 실현되기 시작했다. 유니버설하우징협동조합은 일반 주택조합이나 재건축조합과 같이 소비자로 주택을 분양받기 위해 모인 곳이 아니다. 조합원들은 유니버설디자인을 적용한 집을 임대주택으로 시장에 공급하기 위해 뜻을 모았다. 장애인과 전문가들이 설계한 ‘UD 주택’ 가장 눈여겨볼 점은 조합원의 구성이다. 이범재 대표는 조합 출범 때부터 장애인이나 노인 입주자에게 적절한 의료나 돌봄서비스 제공할 수 있도록 목표를 설정했다. 이 때문에 조합원을 장애 당사자와 관련 분야 전문가로 구성했다. 장애 당사자 그룹으로는 지체장애인 심미경(43) 부장을 포함해 시각장애인, 뇌병변장애인이 있다. 이들은 설계 단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소형주택에 유니버설디자인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어떤 것들이 필요한지 의견을 내고, 수정 단계에서도 도움을 준다. “집 안에 단차가 없으면 이동에 불편을 줄일 수 있어요. 그런데 습식 화장실에 단차를 없애버리면 물이 넘치게 되니까 어쩔 수 없이 단차를 둬야 합니다. 이때 어느 정도 높이면 휠체어 이용자들이 어렵지 않게 넘나들 수 있는지 자문하고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한 첫 사회주택, 입주자 모집

유니버설하우징협동조합에서 ‘제1호 유니버설디자인하우스’ 입주자를 오는 24일까지 모집한다. 유니버설디자인하우스는 신체적 제약이 있는 노인,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어울려 살 수 있는 유니버설 디자인을 건물 전체에 적용한 사회주택이다. 서울시 사회주택조례에 따라 서울시가 제공한 공유지에 사회주택을 짓는 방식으로 마련됐다. 이번 유니버설디자인하우스는 서울 강서구 화곡동에 총 12세대로 마련됐다. 가장 큰 특징은 모든 출입문의 문턱을 없애 노인과 장애인이 편하게 이동할 수 있게 만들었다는 점이다. 문 폭도 비교적 넓다. 일반적인 소형공동주택의 문 폭은 60㎝ 남짓이지만 유니버설디자인하우스는 최소 80㎝에서 1m로 만들어 휠체어도 쉽게 지나갈 수 있다. 특히 천장에 이동 리프트를 설치해 스스로 움직이기 어려운 와상환자의 이동을 돕는 장애인 전용세대도 따로 마련됐다. 세대 곳곳에는 자동심장충격기, 화장실 미끄럼방지 타일 등이 설치됐다. 화재시 신속한 대피가 어려운 이들을 위해 화장실에 워터커튼을 설치해 집안에서 구조를 기다릴 수 있다. 이밖에 주택 안에는 근린생활시설과 커뮤니티 공간이 있어 사회적 공동체, 지역사회 활성화에 필요한 활동도 할 수 있다. 1호점 입주는 오는 6월부터 시작된다. 신청 자격은 5월 기준 서울시에 거주하는 무주택 세대구성원이다. 12세대 중 3세대는 장애인과 고령자를 위한 세대이며 나머지 9세대는 비장애인이 지원할 수 있다. 심상득 유니버설하우징협동조합 이사는 “많은 사람이 유니버설디자인하우스가 장애인을 위한 주택으로 알고 있는데 그건 오해”라며 “청년, 노인, 장애인, 비장애인 등 모든 세대가 함께 어울려 살 수 있도록 안전하고 편안한 집을 짓기 위해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처음은 12세대로 시작하지만 궁극적인 목표는 1만 세대

제262호 창간 14주년 특집

지속가능한 공익 생태계와 함께 걸어온 14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