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71년 충북 음성에서 우리나라의 대표 텃새였던 황새 한 쌍이 발견됐다. 하지만 3일 만에 수컷이 사냥꾼의 총에 희생되고 암컷만 홀로 남았다. 마지막 야생 암컷 황새는 이후 서울대공원으로 옮겨졌으나 1983년까지 무정란만 낳다가 1994년 죽으면서 완전히 자취를 감췄다. 우리나라의 대표 텃새로 이름을 올렸던 황새가 국내에서 완벽히 사라진 것이다. 그로부터 22년이 흐른 지난해 5월 황새 한 쌍이 돌아왔다. 충남 예산 황새생태공원 내 인공 둥지 탑에서 자연 번식에 성공한 것. 올해도 충남 예산의 장전리·관음리·시목리 지역에 설치된 인공 둥지 탑에서 황새 세 쌍이 둥지를 틀어 야생 번식에 성공했다. 멸종된 황새 복원 사업에 나선 곳은 LG의 환경 전문 공익 재단인 LG상록재단. LG상록재단의 생물 다양성을 회복하기 위한 숨은 노력을 조명해봤다. ◇황새 복원은 생물 다양성 지표… 올해 인공 둥지 탑에서 3쌍 둥지 틀어 황새는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이 멸종위기종으로 지정한 조류다. 우리나라에서도 1968년 천연기념물 제199호로 지정해 보호하고 있지만, 전 세계에 2500여마리밖에 남아 있지 않을 정도로 희귀하다. 자연환경 및 생태계 보전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LG상록재단은 2013년 예산군 및 교원대 황새생태연구원과 협약을 맺고 ‘황새 인공 둥지 지원 사업’을 시작했다. ‘황새 인공 둥지 지원 사업’은 황새가 주변 환경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방사장을 조성하고, 황새가 방사된 후에 쉽게 둥지를 틀 수 있도록 인근에 인공 둥지 탑을 설치하는 프로젝트다. 황새는 큰 나무를 찾아 둥지를 트는 습성이 있는데, 과거에 둥지를 틀던 높고 큰 아름드리나무들이 사라지면서 이를 대체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