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1월 27일(수)

한국은 사회공헌 예산 점점 줄어드는데 CSR 총괄 책임자 늘리는 글로벌 기업

Image courtesy of by Stuart Miles at FreeDigitalPhotos.net_그래픽_CSR[미래 TALK]

최근 인사철을 앞두고 사회공헌 담당자들의 고민이 깊어졌습니다. 특히 조직 내에서 부서 이동 없이 사회공헌으로 전문성을 쌓아온 이일수록 더욱 그렇습니다. 경기 침체로 사회공헌 예산을 줄이거나, 해당 부서를 홍보팀·총무팀 등에 흡수시키는 움직임이 번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올해 홍보팀에 소속된 5년 차 대기업 사회공헌 담당자는 “기존 업무는 유지되지만 의사결정 구조가 달라지니 사회공헌 사업을 지속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고 털어놓았습니다. 총무팀으로 흡수된 한 중견기업 사회공헌 담당자는 “예산이 절반 수준으로 줄어 기존 파트너십 단체에 지원 중단 전화를 해야 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보다 연차가 높은 담당자들은 오히려 부서 이동 또는 이직을 고민하는 눈치입니다. 실제로 지난달 한 식음료 중견업체의 사회공헌 담당자 채용 공고가 뜨자, ‘올해의 마지막 이직 기회’라며 5~10년 차 이상 실무자가 대거 몰려들었다는 후문도 들려옵니다. 사회복지 기관, 비영리단체를 거쳐 대기업 사회공헌까지 10년 넘게 전문성을 쌓은 한 실무자는 “회사에 계속 다니려면 마케팅, 홍보 등 다른 경력을 쌓아야 한다는 압박 때문에 부서 이동을 고민 중”이라고 귀띔했습니다.

반면, 미국·유럽 등 글로벌 기업의 분위기는 사뭇 다릅니다. 기업 내에 앞다퉈 ‘지속 가능성 최고 책임자(Chief Sustainability Officer·이하 CSO)’를 임명해 적극적으로 책임 경영을 실천하고 있습니다. 코카콜라, 듀폰(Dupont), 켈로그(Kellogg), 나이키, 지멘스, 오라클(Oracle), UPS, 이케아 등이 그렇습니다. CSO란 윤리 경영, 인권, 친환경 정책, 밸류 체인(공급망) 등 CSR을 포괄, 기업 전체의 지속가능한 전략을 총괄하는 최고경영자를 말합니다. CEO가 바뀔 때마다 CSR 정책과 사회공헌 예산이 바뀌는 한국과 달리, 글로벌 기업들은 CSO를 한 번 임명하면 오랜 기간 이들에게 믿고 맡깁니다. 2004년 듀폰 CSO로 임명된 환경 정책 전문가 린다 피셔(Linda J Fisher)는 벌써 10년 넘게 듀폰 CSO로 활약 중입니다. 비영리단체(NPO), 언론, 정부 등 다양한 분야 외부 전문가를 영입하는 흐름도 눈에 띕니다. BBC 등 미디어에서 공익 캠페인을 진행한 언론인 해나 존스(Hannah Jones)는 나이키의 CSR 매니저, 지속 가능 경영 부회장에 이어 2014년 CSO로 발탁됐고, 2011년부터 이케아 CSO를 맡고 있는 스티브 하워드(Steve Howard) 역시 온실가스 배출 감소를 위해 환경 단체를 설립한 NPO 활동가 출신입니다.

국내 대기업엔 언제쯤 최고경영진급 CSO가 탄생할까요. 그때가 멀지 않았기를 바라봅니다.

관련 기사

Copyrights ⓒ 더나은미래 & futurechosun.com

전체 댓글

제262호 창간 14주년 특집

지속가능한 공익 생태계와 함께 걸어온 14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