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대 기업 국가기여도 평가 심포지엄 지난 5일, 서울 여의도 사학연금관리공단 2층 세미나실에서 ‘100대 상장기업 국가기여도 평가’ 심포지엄이 열렸다. 한국회계학회와 조선일보 더나은미래 주최로 열린 이번 행사는 올 초 한국회계학회가 실시했던 ‘기업의 국가기여도 평가’ 결과를 회계분야 인사들에게 발표하고, 토론과 질의응답 등을 통해
100대 기업 국가기여도 평가 심포지엄 지난 5일, 서울 여의도 사학연금관리공단 2층 세미나실에서 ‘100대 상장기업 국가기여도 평가’ 심포지엄이 열렸다. 한국회계학회와 조선일보 더나은미래 주최로 열린 이번 행사는 올 초 한국회계학회가 실시했던 ‘기업의 국가기여도 평가’ 결과를 회계분야 인사들에게 발표하고, 토론과 질의응답 등을 통해
미국 사회 이끈 비영리단체 12곳… ‘협력’이 성공 비결 지도자·현장전문가 대상, 4년에 걸쳐 심층분석 미국에는 현재 180만개 이상의 비영리단체가 활동하고 있고, 해마다 3만개의 비영리단체가 새롭게 생겨나고 있다. 이들의 예산 규모는 1000조원이 넘는다(한국 비영리단체 예산 총액은 1조41억원, 2010년 한국개발복지 NPO총람). 최근 15년
지난 18일, 그랜드하얏트 서울 호텔 야외 주차장에서 용산 지역 불우 이웃을 대상으로 한 사랑의 바자회가 개최됐다. 이번 사랑의 바자회는 호텔 내 사용하지 않는 그릇, 접시, 컵, 거위털 베개 시트, 고급 린넨, 스파 용품 등뿐만 아니라 직원 및 가족들이 기증한 물건
[한국회계학회-더나은미래 국가기여도 순위 조사] 여성고용비율엔 웅진코웨이 평균근속연수 항목엔 풍산… 선두 휩쓴 삼성전자는 77위 최근 국내 반(反)기업 정서에 대해 우려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오는 12월 대선을 앞두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사회 양극화와 재벌에 대한 불만이 다시금 수면위로 떠오른
지난 20일 다음세대재단은 전국 500개 비영리단체 실무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디지털 미디어 활용도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실무자들의 디지털 미디어에 대한 이해도는 3점 만점에 1.53점으로,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비영리단체의 활동 분야에 따라 국제개발원조(1.9점), 고용 및 인권(1.7점), 사회복지(1.6점), 보건 및 의료(1.3점)의 순서였다.
충북 제천 ‘새싹아동돌봄센터’ 읍·면 1416개 지역 중 426곳은 보육시설 없어 논두렁·물웅덩이 등 농가 주변에 위험요소 많아 집안 문 잠그고 나가기도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 자녀 두고 일하는 부모위해 야간에도 안전 귀가 책임 “일은커녕, 밖에 제대로 나갈 수도 없었어요.” 충북 제천시 덕산면에 사는 김성철(가명·43)씨.
제레미 프렙시어스 BSR 총괄 디렉터 CSR 중시하는 기업은 경쟁에서 유리한 위치 확보 소비자 심리 변화 이해하면 니즈 충족시킬 수 있어 CSR 무시했던 나이키 불매운동 겪으며 변화… 지속가능한 상품 만들어 “세상이 바뀌고 있다!” 지난 14일 서울 프레스센터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제2회 국제나눔콘퍼런스’
기업 사회공헌 현실과 대안 ③ 기업 무리한 요구… 맞춰가며 일정 짜놓으면 행사 직전 취소한 경우도 납품 단가 조정 압력에 협력업체들 몰래 기부 전담팀 갖춘 기업 33.9%… 지속적 활동하기 어려워 최근 국내의 한 NGO 실무자는 대기업 S사로부터 “임직원 500명이 함께 봉사할
언론사에 있다가 1년 남짓 NGO에 몸을 담갔을 때, 저는 꽤 많은 충격을 받았습니다. 직원들이 젊고 이직이 많았으며, 연봉은 처절하게 낮았습니다. NGO는 그야말로 사람 하나하나가 ‘일당백’을 해야 하고, 그 사람 하나가 빠지면 어마어마한 쓰나미가 밀려올 만큼 공백이 크지요.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국내 공익재단 현황 국내 고액기부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기부 형태는 ‘공익재단’을 설립하는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개인재단의 숫자나 규모는 정확히 파악할 수가 없다. 재단 설립 목적에 따라 주무 부처가 다르고, 공익법인 설립 허가와 지도·감독을 하는 전담 기관이 없다. 최근 아름다운재단 기부문화연구소(소장 원윤희)는
국내 기부 트렌드 원금에 이자까지 기부… 운용 수수료 지정기부 상품도 NGO 투명성 높이고 세제 개혁 뒷받침 돼야 세계적인 투자은행인 바클레이즈의 ‘세계 부자 보고서’ 자료에 따르면, 한국의 부자는 2007년 43만3000명이다. 2017년에는 105만3000명으로 증가하여 세계 12위의 부자대국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주거용 부동산을 제외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