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하는 고령층이 늘면서 전체 노인 근로소득이 증가했지만, 우리나라 노인들은 여전히 빈곤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진선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연령별 소득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20년 고령층의 근로소득은 70조2416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2016년(45조563억원)에 비해 84% 증가한 수치다. 진선미 의원은 “같은 기간 전체 연령대의 근로소득 증가율이 25.2% 증가한 것을 고려하면 가파른 상승세”라고 말했다.
통합소득도 5년 새 전체 연령대에 비해 크게 증가했다. 통합소득은 근로소득, 연금소득, 이자소득, 사업소득 등 모든 소득을 합산한 소득이다. 60세 이상 고령층의 통합 소득액은 2016년 64조 4202억원에서 74.4% 증가해 2020년 112조3726억원을 기록했다. 같은 시기 전체 연령대의 통합소득액은 721조3616억원에서 908조8688억원으로 26% 증가했다.
고령층의 전체 소득 중에는 노동을 통한 소득이 차지하는 비중이 커졌다. 고령층의 통합소득 중 근로소득 비율은 2017년 59.2%에서 2018년 60.5%, 2019년 61.4%, 2020년 62.5%를 기록했다. 이에 반해 통합소득 중 연금소득의 비중은 감소했다. 2016년 35.1%이던 연금소득 비중은 2020년 32.3%로 줄었다.
진 의원은 “생계를 위해 노동하는 고령층이 그만큼 많다는 의미”라며 “우리나라 고령층의 상대적 빈곤율은 매우 심각하다”고 지적했다. 상대적 빈곤율은 중위소득 50%(빈곤선) 이하인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을 뜻한다. 통계청의 ‘2022 고령자 통계’에 따르면 2019년 한국 고령층의 상대적 빈곤율은 43.2%로 OECD 가입국 중 1위를 기록했다. 미국(23.0%), 스위스(18.8%), 영국(15.5%), 캐나다(12.3%)가 그 뒤를 이었다.
진 의원은 “일할 수 있는 노인을 위한 일자리를 확대하고, 근로 능력이 열악한 노인에게 필요한 맞춤 지원을 제공하는 등 고령층에 대한 사회적 안전망을 촘촘히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황원규 더나은미래 기자 wonq@chosun.com